자살 사망자 유서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1위가 '엄마'

생명존중희망재단, 자살 사망자 유서 분석 연구…'아빠'가 그다음
'살해 후 자살'은 유서에 '돈' 언급 많아…"다각적 정책 지원 필요"

 자살 사망자들의 유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명사는 '엄마, 어머니, 어머님', '아빠, 아버지'와 같이 가족과 관련된 명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13∼2020년 전체 자살 사망 10만2천538건을 대상으로 자녀, 부모, 배우자 등을 살해한 후 자살한 사망자와 그 외 자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 '유서분석을 통한 살해 후 자살의 특성 연구'를 최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재단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인지과학과 연구팀은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 215건,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 3만7천735건 가운데 각각 209건, 418건을 추출해 자연어 처리로 분석했다.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에선 총 1만3천673개 명사가 확인됐고 역시 '엄마, 어머니, 어머님'(522회·3.8%)과 '아빠, 아버지'(414회·3.0%)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전체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 부모를 지칭하는 표현이 가장 많이 등장한 것이다.

 본인의 엄마나 아빠를 향한 메시지나, 자신을 엄마나 아빠로 지칭한 표현 등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일반 자살자의 유서에는 엄마, 아빠 외에 '사람'(1.7%), '아들'(1.6%), '말'(1.6%), '가족'(1.2%) 등이 자주 나왔다.

 반면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엔 '돈'(1.7%)이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 '돈' 빈도는 1.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연구팀이 총 28개의 감정 카테고리 모델로 유서에 나타난 감정을 분류해보니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엔 '분노', '흥분', '중립'이, 그 외 자살 사망자의 유서에는 '배려', '사랑', '슬픔'과 같은 감정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살해 후 자살만 놓고 봤을 때 피해자가 자녀인 경우는 30∼40대 부모가 경제적 부담이나 자녀의 건강 문제를 주로 들었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50대 이상에서 돌봄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이 주원인이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살해 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경제적 지원을 위한 사회보장의 확대, 가족 내 갈등 조정을 위한 사회서비스 확대, 심리 상담의 접근성 확대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같은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 109 또는 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스트리트저널 "美, 복제약은 의약품 관세서 제외 계획"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에서 복제(제네릭) 의약품은 제외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보낸 성명에서 "행정부는 복제 의약품을 상대로 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관세 조사를 담당하는 상무부의 대변인도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서 복제약 관세라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위해가 되는 수입을 관세 등을 통해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상무부에 의약품에 대한 관세 조사를 지시했으며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이후 행정부가 제약사 와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세 부과를 연기했다. 복제약을 관세에서 제외하기로 한 이번 방침은 최종 결정이 아니며 향후 바뀔 수도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복제약은 미국인이 매일 사용하는 의약품의 약 90%를 차지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