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살 사망자들의 유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명사는 '엄마, 어머니, 어머님', '아빠, 아버지'와 같이 가족과 관련된 명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13∼2020년 전체 자살 사망 10만2천538건을 대상으로 자녀, 부모, 배우자 등을 살해한 후 자살한 사망자와 그 외 자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 '유서분석을 통한 살해 후 자살의 특성 연구'를 최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재단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인지과학과 연구팀은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 215건,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 3만7천735건 가운데 각각 209건, 418건을 추출해 자연어 처리로 분석했다.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에선 총 1만3천673개 명사가 확인됐고 역시 '엄마, 어머니, 어머님'(522회·3.8%)과 '아빠, 아버지'(414회·3.0%)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전체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 부모를 지칭하는 표현이 가장 많이 등장한 것이다.
본인의 엄마나 아빠를 향한 메시지나, 자신을 엄마나 아빠로 지칭한 표현 등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일반 자살자의 유서에는 엄마, 아빠 외에 '사람'(1.7%), '아들'(1.6%), '말'(1.6%), '가족'(1.2%) 등이 자주 나왔다.
반면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엔 '돈'(1.7%)이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 외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 '돈' 빈도는 1.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연구팀이 총 28개의 감정 카테고리 모델로 유서에 나타난 감정을 분류해보니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엔 '분노', '흥분', '중립'이, 그 외 자살 사망자의 유서에는 '배려', '사랑', '슬픔'과 같은 감정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살해 후 자살만 놓고 봤을 때 피해자가 자녀인 경우는 30∼40대 부모가 경제적 부담이나 자녀의 건강 문제를 주로 들었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50대 이상에서 돌봄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이 주원인이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살해 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경제적 지원을 위한 사회보장의 확대, 가족 내 갈등 조정을 위한 사회서비스 확대, 심리 상담의 접근성 확대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같은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 109 또는 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