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분류 연구원 [연합 자료사진]](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4350132215_0e1bf4.jpg?iqs=0.40432058363436363)
올해 들어 국내 첫 일본뇌염 환자가 14일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발열과 오한, 두통, 오심 등의 증상으로 지난달 16일 의료기관을 찾은 30대 환자가 이날 일본뇌염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 환자는 현재 의식 저하 상태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올해 보건당국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확인된 3월 27일 일본뇌염 주의보를, 매개모기 밀도가 증가한 지난 8월 1일 경보를 발령한 바 있다.
통상 8∼9월에 첫 환자가 확인됐는데, 올해는 최근 10년간 중 가장 늦게 첫 환자가 발생했다.
국내에선 한 해 평균 18.6명(2016∼2024년)의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한다. 작년엔 21명이 나왔다. 대개 8∼11월 발생하며, 9∼11월에 80%가 집중된다. 50대 이상(87.9%)이 대부분이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과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는데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돼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엔 환자의 30∼50%가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질병청은 강조했다.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암갈색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국내 전 지역에서 10월까지 활동한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기가 활동하는 시기 야간엔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효과적인 백신이 있는 만큼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하고, 과거 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중 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위험국가에 방문하는 경우에도 접종이 권고된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최근 매개 모기가 증가하고 있고 10월부터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외활동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