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어김없이 동장군이 엄습했다. 이럴 때 면역력이 떨어지면 코로나19와 독감 등은 물론 기침, 콧물, 두통, 인후통 등의 각종 호흡기질환에 시달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의학계에 따르면 한방에는 '정기존내(正氣存內), 사불가간(邪不可干)'이라는 표현이 있다. 내 몸 안의 기운(면역력 등)이 튼실하면, 사기(바이러스 등 외부 병인)가 감히 몸을 병들게 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마찬가지로 내 몸 안의 방어력을 강화하는 게 겨울철 호흡기질환을 예방하는데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이중 차 마시기는 한방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면역력을 키우는 생활 습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차(Tea)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말린 후 우려서 마시는 음료를 통칭하는데, 오늘날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마시고 있는 음료 중 하나다. 역사적으로 보면, 차를 마시는 건 건강과 치료의 목적이 컸다. 과학이 발달한 요즘 들어서는 폴리페놀, 카테킨과 같은 차의 주요 성분들이 질병을 예방하는 등의 다양한 효능을 내는 것으로 밝혀지는 추세다. 국내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영양 진보'(Advances in Nutrition, 2020년)에 발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침 치료가 수면장애를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한의과학연구부 류연희 박사 연구팀은 고함량 카페인을 투여해 수면장애·심장박동 증가 등 과각성 상태를 유도한 동물을 대상으로 신문혈 전침 자극 실험을 진행했다. 신문혈은 뇌의 기능, 운동 감각, 정서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실험에서 수면에 영향을 주는 뇌 내 시스템의 소포체 스트레스가 침 치료로 완화하고, 침 치료군의 각성 시간이 카페인 투여군보다 50%가량 줄어든 사실을 확인했다. 소포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백질을 조립·이동시키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염증 등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류연희 박사는 "침 치료는 부작용이 적고 지속해서 수면을 관리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기법"이라며 "다양한 원인에 따른 불면을 지속해 관리할 수 있는 치료 기기, 전자약 개발의 기초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김현성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봉침 성분인 '멜리틴'의 척추관협착증 치료 메커니즘을 동물실험으로 입증했다고 8일 밝혔다. 봉침은 벌에서 추출한 봉독을 인체에 무해하게 정제해 활용하는 한방 고유의 치료법으로, 통증의 원인이 되는 염증을 없애는 데 주로 쓰인다. 이중 봉독 전체 중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멜리틴'(Mellitin) 성분은 항암과 면역 증강, 근골격계 진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인위적으로 척추관협착증을 일으킨 쥐에 멜리틴을 주사하고 염증 세포의 변화를 관찰했다. 이 결과 쥐의 척추관협착증 발생에 관여했던 염증 세포는 멜라틴 주사 농도가 높아질수록 이에 비례해 감소하는 양상이 관찰됐다. 이는 멜라틴이 신경 및 조직 손상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척추관협착증을 치료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멜리틴은 동물 행동 실험에서도 운동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쥐를 자유롭게 걷게 한 뒤 움직임을 관찰하는 검사에서 멜리틴 투여 농도가 높을수록 정상적인 뒷발 사용량이 늘어났으며, 사다리 코스에서의 발 빠짐 비율도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평가했다. 김현성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홍진영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한약재 중 하나인 '천수근' 성분이 척추관협착증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메커니즘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천수근은 '악마의 발톱'이라는 별칭으로 잘 알려진 식물로, 염증 및 통증 억제 효과가 뛰어나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퇴행성 척추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요추 일부를 제거하고 생체 실리콘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척추관협착증을 일으킨 쥐에 천수근 성분을 투여하자 염증 관련 대식세포가 투입 농도에 비례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대식세포의 감소가 신경 및 조직 손상에 의한 염증 반응 억제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또 매주 3㎝ 간격의 사다리를 걷게 하는 검사에서도 천수근 투입 농도가 높아질수록 쥐의 발 빠짐 비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관찰됐다.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홍진영 선임연구원은 "한방에서 척추관협착증 치료에 쓰이는 천수근 성분 약물의 치료 메커니즘을 밝힌 데 의미가 있다"면서 "척추관협착증뿐만 아니라 각종 척추질환에도 천수근을 활용한 한방 치료법이 유효한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산화의학과 세포 수명'(Oxidative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과학연구부 정지연 박사 연구팀이 대표적 어혈(瘀血) 치료제인 계지복령환의 어깨 통증·혈중지질 개선 효능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계지·복령·목단피·도인·작약으로 구성된 계지복령환은 주로 갱년기장애·월경이상·타박상 등 어혈 제거에 사용되는 한약 처방 가운데 하나다. 한의학에서는 어혈이 몸의 정상적인 순환을 막고, 경락의 소통을 가로막아 질환을 유발한다고 본다. 연구팀은 임상시험을 통해 계지복령환이 만성통증·신경염증과 관련 있는 아르기닌, 트립토판 등 대사 패턴을 조절해 어깨 통증을 개선하고, 혈중지질 수치도 개선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치료 8주 후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 어깨 통증(VAS)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특히 치료군에서는 대조군보다 약 1.6배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고미미 박사는 "계지복령환은 어깨통증과 같은 근골격계 염증성 통증 질환에 효과가 있어 임상에서 자주 쓰이고 있으나 치료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허가용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아 이상지질혈증 치료 효능과 안전성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홍진영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한의학 전통 약물인 우황청심원의 뇌졸중 예방 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은 우황, 사향, 인삼 등을 비롯한 총 21종의 한약재로 구성된 처방이다. 긴장, 두통, 현기증, 뇌졸중, 경련 등 뇌혈관 질환에 주로 이용된다. 한의학계의 정식 명칭은 우황청심원이며, 중국의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과는 처방 구성과 악효가 달라 구분된다. 연구팀은 우황청심원의 뇌졸중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 쥐의 신경세포에 우황청심원을 3가지 농도(2, 10, 50㎍/mL)로 주입하고,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 상태를 유도했다. 이 결과 우황청심원의 농도가 높을수록 뇌졸중 상태에서 신경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한 우황청심원이 신경세포의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고, 다양한 신경재생인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과도 별도의 세포실험에서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홍진영 선임연구원은 "전통 한의학 처방으로 활용돼 온 우황청심원의 우수한 뇌졸중 예방 효과가 객관적으로 증명된 실험연구"라며 "뇌졸중뿐만 아니라 여러 뇌·심혈관계질환 치료에도 우황청심원을
한방병원과 한의원 등에서 한약을 이용해 치료하는 질환 중 근골격 계통 질환의 비중이 높고, 오적산이나 당귀수산 등이 주로 처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21년 제6차 한약소비 실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한방 의료기관과 약국·한약방 등 한약 조제·판매 기관 3천여 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약 처방(조제)은 약의 종류와 보험 여부, 기관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는 근골격계 질환 처방이 가장 많았다. 근골격계 질환은 허리, 목, 팔, 다리 등에 생기는 통증이나 결림 등을 이른다. 구체적으로 한방병원 첩약 처방 중 근골격 계통 처방이 74.5%였다. 근골격 계통 첩약으로는 오적산(49.5%)이 가장 많이 처방됐다. 한방병원에서 비보험 한약 제제 처방도 근골격 계통이 44.9%로 가장 많았고, 당귀수산(43.4%)이 주로 처방됐다. 한방병원에서 보험 한약 제제는 호흡 계통(45.4%)에 가장 많이 처방됐다. 소청룡탕(41.0%)이 많이 쓰였다. 한방 기관에서 가장 선호되는 한약 제형은 탕제로 조사됐다. 한방병원과 한의원의 탕제 이용률은 각각 93.4%, 99.2%였다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고영훈 박사 연구팀은 '한약 소재 추출물 기반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서진수 교수팀과 공동개발한 이 조성물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유전인자인 APOE4 유전자 변이에 특이적 보호 효과를 보인다. APOE4 유전형을 보유하면 APOE3 유전형 보유자보다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확률이 5∼10배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성물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 APOE4 알츠하이머 모델에서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효과가 관찰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사업화를 위해 지난 2월 아리바이오와 선급기술료 12억원을 받는 내용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고영훈 박사는 "임상시험에서 안전성·유효성을 확인해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로 이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한의학연)은 약재 551종에 대한 빅데이터 5천400만건을 구축해 민간에 개방했다고 18일 밝혔다. 한의학연은 약용 생물자원, 고문헌·산림 약용 생물자원, 구성 성분, 단백질 정보, 약용 생물자원 활용·증상·처방·논문 정보 등 9개 분야에 대한 27개 데이터 상품을 생산했다. 지난해 2천800만 건에 이어 올해는 누적 5천400만여 건의 데이터를 구축했고, 그 규모는 약 168GB에 이른다. 이는 대략 A4 용지 3천만 장 분량이다. 약용 생물자원 정보의 경우 한의학교과서와 고문헌에 나오는 약재 효능과 치료에 관한 정보를 일반인도 알기 쉽게 번역·가공해 제공했다. 구성 성분 정보는 바이오의료 분야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PubMed)에서 약재 성분 데이터를 추출해 구축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신약·기능성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한의학연은 기대한다. 빅데이터는 산림 빅데이터 거래소(https://www.bigdata-forest.kr)에서 회원 가입한 뒤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이진용 한의학연 원장은 "산림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센터 역할을 하면서 2019년부터 올해까지 식품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