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아스트라 제네카 제약회사가 뇌종양 치료제로 개발한 실험 신약(ADZ 1390)이 척수 부상 회복에 놀라운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Z 1390은 '운동실조 모세관 확장증 돌연변이 키나제 억제제'(ATM kinase inhibitor)로 현재 미국과 영국의 여러 의료기관에서 뇌졸양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임상시험은 2024년 5월에 끝날 예정이다. 영국 버밍엄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주바이르 아메드 교수 연구팀은 ADZ 1390이 척수 부상 생쥐 모델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회복시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UPI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먼저 ADZ 1390이 시험관에서 배양한 신경세포의 성장을 자극하고 DNA 손상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ATM 키나제 경로(pathway)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연구팀은 이어 척수가 손상된 생쥐에 ADZ 1390을 경구 투여했다. 그러자 ATM 키나제 경로가 크게 억제되면서 손상된 척수 부위 넘어 신경이 재생되고 재생된 신경은 손상된 부위를 건너서 전기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생쥐는 4주도 안 되어 척수가 손상되지 않은 생쥐와
근감소증 상태의 노인이 필수 아미노산인 '류신'(Leucine)을 꾸준히 섭취하면 근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공동 연구팀(이상윤·임재영 교수)은 근감소증으로 진단된 노인이 류신 성분 영양보충제를 꾸준히 섭취한 후의 근력 변화를 관찰한 국제학술지 연구논문 6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12일 밝혔다. 류신은 인체의 근육합성 과정에서 단백질 분해를 막고 합성을 촉진해 체내 근육량을 유지하거나 늘리는 역할을 한다. 체내에서 자연 생성되지 않아 달걀과 우유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나 별도의 보충제를 통해서만 섭취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연구에 참여한 노인 699명을 류신 보충제를 먹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근육량과 운동능력 등의 근감소증 지표를 평가했다. 이 결과 두 그룹 간 근감소증 점수(표준화된 평균차, SMD) 차이는 0.939점으로, 류신 보충제 섭취 그룹에서 근육량과 운동능력 등 근감소증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근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류신 성분이 노년기 근감소증을 개선하고 근력을 강화하
물가상승세가 뚜렷한 가운데 감기약 1위 제품 '판피린'의 가격 인상이 예고됐다. 1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동아제약은 10월 1일자로 마시는 감기약 판피린의 약국 공급가를 12.5% 인상하기로 했다. 2017년 9월 이후 5년 2개월 만의 가격 인상이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약국과 소비자들을 고려해 가격 인상을 최대한 늦춰왔지만 원재료 및 인건비 등 지속해서 비용이 상승해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급가 인상에 따라 약국에서 판매되는 가격도 오를 전망이다. 약국은 약사가 일반의약품 가격을 자율적으로 결정해 판매할 수 있는 곳이어서, 소비자가 약국에서 지불하는 일반의약품 가격은 약국별로 다르다. 현재 약국에서는 통상 20㎖짜리 판피린 5병을 한 상자에 담아 2천500원∼3 천원 정도에 판매한다. 판피린은 1961년 출시된 감기약으로, 일반인들에게는 '감기 조심하세요~'라는 광고로 친숙한 일반의약품이다.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아이큐비아의 감기약 부문 판매액 기준으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연속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판피린은 현재 약국용 액상 제형과 편의점용 알약 제형 등 두 가지 종류로 나온다. 이번 가격 인상은 약국
각성제 메틸페니데이트(제품명: 리탈린) 같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에 쓰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제제(noradrenergic drugs)가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HD는 유달리 주의력이 떨어지고 산만하며 행동이 지나치게 활발하고 충동 조절과 행동 통제가 안 되는 일종의 정신 장애로 소아 또는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요즘엔 성인 환자들도 적지 않다. 중추신경 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주의력과 행동을 조절하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을 활성화한다. 영국 임피어리얼 칼리지 런던(ICL), 케임브리지 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공동 연구팀은 ADHD 치료에 쓰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치매 증세를 다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1980~2021년 사이에 발표된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알츠하이머 치매와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19편의 연구 논문 자료
편두통 발작 예방약 엡티네주맙(제품명: 바이엡티)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상당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메수드 아시나 교수 연구팀은 전에 편두통 예방 치료에 여러 번 실패한 적이 있는 편두통 환자들에게 엡티네주맙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월평균 최대 5일 이상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덴마크의 룬드벡 제약회사 제품인 엡티네주맙은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 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로 같은 계열인 애모빅(암젠 제약), 앰갈리티(일라이 릴리 제약), 아조비(테바 제약)와 함께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편두통 예방약으로 승인을 받았다. 엡티네주맙은 정맥 주사제이고 다른 3가지 약은 피하주사제이다. 엡티네주맙은 여러 번의 3상 임상시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지만 과거에 치료제가 듣지 않았던 경험이 있는 편두통 환자들이 대상이 된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번 임상시험(phase IIIB DELIVER)은 지난 10년 사이에 편두통 예방 치료에
항우울제 이미프라민과 조울증, 조현병 등에 사용되는 항정신병 제제 올란자핀(제품명: 자이프렉사)이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 의대 신경학 전문의이자 알츠하이머병·인지기능 센터(Alzheimer's and Cognition Center) 소장인 헌팅턴 포터 박사 연구팀은 이 두 기존 약물의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거쳐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크게 높이는 APoE4 변이유전자의 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약을 기존의 약제에서 찾아왔다. 지금까지 수십 년에 걸친 치매 치료제 개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확실한 약이 아직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APoE4 변이 유전자는 치매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뇌 신경세포의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를 신경독성을 지닌 소중합체(oligomer)와 미세섬유(fibril)로 전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베타 아밀로이드의 이러한 연쇄반응을 억제하면 신경 퇴행과 그로인한 치매 위험을 줄이거나 막을 수 있을지 모른다고 연구팀은 판단
국내 제약사들이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에 정확히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2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메신저리보핵산(mRNA) 신약, 차세대 항암제 카티(CAR-T) 등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에 핀셋처럼 작용하는 치료법이 등장하면서 약물 전달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유한양행[000100]은 최근 미국 신시내티 대학 이주엽 교수 연구팀과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기술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LNP는 약물이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질 안에서 작용하도록 하는 전달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mRNA 신약 등 기술적으로 앞선 신약의 경우 이전과는 다른 약물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며 "개발할 LNP 기술을 회사의 어떤 약과 접목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대웅제약[069620]도 코로나 백신·치료제로 쓰인 mRNA가 면역항암, 당뇨 등 대사질환 치료제에도 유용할 것으로 보고, 폐나 뇌 등을 표적으로 하는 '선택적 장기 표적형' LNP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LNP 기술에도 한계는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박봉현 책임연구원은 "LNP는 보통 정맥 내로 주사되면 간세포로 흡수돼 간 이외의 장기로 전
암과 중증·희귀질환으로 투병 중인 환자 10명 중 4명 이상이 과도한 약값 부담 때문에 치료를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회장 김철중)는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환자 중심 항암제·희귀질환 혁신 신약,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열어 이런 내용의 환자 대상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조사는 암(100명), 희귀질환(115명), 기타 중증 만성질환(35명)을 대상으로 했다. 응답은 환자가 직접 하거나, 가족이 대신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2.8%(157명)가 치료 과정에서 가장 힘든 부분으로 '경제적 요인'을 꼽았다. 특히 환자 10명 중 4명이 넘는 44.0%(110명)가 약값 부담 등의 이유로 실제 치료를 중단한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암과 중증·희귀질환에 사용되는 신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은 이후에도 건강보험급여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약제 급여 적정성 평가'를 거쳐야 하므로 비싼 약값을 환자가 고스란히 감당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적절한 치료제가 있는데도 비싼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해 치료를 시도하지 못하거나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는 환자가 생길 수밖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애브비(AbbVie) 제약회사가 개발한 리산키주맙(제품명: 스카이리지)을 난치성 염증성 장 질환인 크론병(Crohn's disease) 치료제로 승인했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UC)과 함께 2대 염증성 장 질환의 하나로 소화기관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그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발생한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완화-재발이 반복하며 진행된다.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에 따르면 FDA는 관해 유도(induction)와 관해 유지(maintenance) 3상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리산키주맙의 판매를 승인했다고 애브비 제약회사가 발표했다. 관해 유도 임상시험(ADVANCE, MOTIVATE)에서는 리산키주맙이 투여된 실험군이 불과 4주 만에 임상적 반응과 관해(증상 완화)가 나타났다. 12주에는 크론병 활성도 점수(Crohn's disease activity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