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신생아 16명 중 1명꼴, 체외수정으로 태어나

일본에서 체외수정으로 태어나는 신생아 비율이 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미우리신문이 28일 일본산부인과학회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체외수정으로 태어난 신생아 수는 2017년 5만6천617명으로 전년에 이어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

이는 일본에서 태어나는 전체 신생아의 6.3% 수준으로, 16명 중 1명꼴이다.
 

일본에서 불임치료 방법의 하나로 난자와 정자를 체외에서 수정 시켜 자궁에 심는 체외수정으로 첫 아이가 태어난 것은 1983년이다.

이후 2017년까지 34년간 이 시술로 59만3천354명이 태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난자에 정자를 주입하는 모습 [올림푸스 제공 자료사진]

일본에서는 수정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난자에 바늘을 찔러 정자를 주입하는 현미수정(顯微授精)과 냉동보관한 수정란을 착상이 잘 되는 시기를 골라 자궁에 심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서 2017년 체외수정을 활용한 불임 치료 시도 건수도 사상 최대치인 44만8천210건을 기록했다.

그러나 최근 10년가량 사이에 해마다 수만 건씩 늘던 것이 420건 증가하는데 그쳐 증가폭은 눈에 띄게 줄었다.

요미우리는 전문가 말을 인용해 일본의 가임 연령대 여성 인구가 줄고 있어 불임 치료 건수가 앞으로 감소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