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 지방간'이 당뇨병 일으키는 메커니즘 규명"

보라매병원 연구팀 "특정 단백 물질 대량 분비가 대사장애 불러"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 원 교수와 서울대 약학대학 김상건 교수 공동 연구팀은 '비알코올 지방간'이 당뇨병 발생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최근호에 발표됐다.

비알코올 지방간은 음주와 무관하게 과도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유전적 원인 등으로 간 내부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식습관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연구팀은 비만을 유도한 실험 쥐의 간 조직을 추출해 조직검사를 하는 한편 비알코올 지방간으로 진단된 환자 31명의 혈액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알코올 지방간이 있으면 간 내 신호전달 물질인 'Gα13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면서 체내 인슐린 저항성이 크게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α13 유전자의 발현 감소는 대사장애를 유발하는 'ITIH1 단백 물질'의 간 내 분비를 최대 5배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원 교수는 "체내 혈당을 조절하는 간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될 경우 신호전달 유전자의 발현이 저하되고, 대사장애를 유발하는 단백 물질의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발병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해당 단백질 분비를 억제하는 중화항체 요법 등을 적용하면 당뇨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우선 차백신연구소[261780]는 지난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mRNA 백신 및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