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모체면역 급속히 소진..생후 3개월 후 92% 항체 수치 미달"

 

 신생아는 최소한 생후 1년 동안은 홍역에 걸리지 않도록 모체로부터 자연 수동면역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 수동면역이란 임신 중 모체의 혈액에 있는 항체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 전달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면역이다.

 그러나 모체로부터 받은 홍역 면역은 의외로 급속히 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공중보건연구소(Public Health Ontario)의 셸리 볼로틴 역학교수 연구팀이 생후 1년 미만 신생아 196명에게서 혈액 샘플을 채취, 홍역 항체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3일 보도했다.

 생후 6개월이 지나면 홍역에 대한 모체 면역 항체는 홍역 예방에 필요한 수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생후 1개월 된 신생아는 약 20%가 혈중 홍역 항체 수치가 예방에 필요한 수준에 미달했으며 생후 3개월이 되자 92%가 홍역 항체 수치 미달로 나타났다.

 생후 6개월이 된 신생아는 모두 홍역 항체 수치가 예방 수준을 밑돌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신생아는 첫 돌이 되기 전에 홍역 예방 조치가 필요함을 이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소아과학회 학술지 '소아과학'(Pediatric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난방비 아낀 뜻밖의 결과…"뇌졸중·심근경색 1.7배 늘었다"
겨울철에는 난방비 고민이 커지기 마련이다. 더욱이 요즘처럼 경제 상황이 어려울 때는 느닷없는 폭설과 한파에도 집안 보일러를 켜는 게 망설여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럴 때일수록 난방에 소홀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비용 부담에 따른 추위 노출이 결국은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새롭게 제시됐기 때문이다. 서울의대 휴먼시스템의학과 윤형진 교수,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김경남 교수, 경상국립대 정보통계학과 김수환 교수, 강북삼성병원 박유진 데이터사이언티스트 공동 연구팀은 국내 난방 에너지 가격의 변화가 겨울철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Environmental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 뇌졸중과 심근경색으로 대표되는 심혈관질환은 평균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많이 생기는 편이다. 혈관은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일교차가 클 때 민감하게 반응해 기온이 1도씩 내려갈 때마다 수축기혈압은 1.3㎜Hg, 이완기 혈압은 0.6㎜Hg만큼 높아져 심장에 부담을 준다. 추운 날씨가 혈관 수축을 유발하고 심박수와 혈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