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병원, 패혈증 전 단계 '균혈증' 예측 AI 개발

균혈증 환자 혈액 데이터 1천여개 학습…10개 임상변수로 예측

 

 패혈증 전에 나타나는 증상인 '균혈증'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감염내과 송영구·이경화 교수, 가정의학과 동재준 교수 연구팀과 인공지능 전문기업 '셀바스 AI'가 조기에 균혈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균혈증으로 진단된 환자 1만3천402명의 혈액을 배양하고 이 가운데 유의미하게 균혈증을 보인 데이터 1천260개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켰다.

 이후 인공지능의 균혈증 예측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분석에 사용된 임상변수 중 혈청 내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효소 수치를 비롯한 10개 변수를 사용했을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영구 교수는 "예측정확도가 높은 10개 임상변수를 적용해 조기에 균혈증을 발견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며 "새로운 모델은 환자의 체온, 혈압 등의 활력징후, 혈액검사 등 실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패혈증을 더 빠르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의학'(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0월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미·유럽서 모기 매개 감염병 웨스트나일열 발생…"여행자 주의"
질병관리청은 미국, 유럽에서 모기 매개 감염병 웨스트나일열이 발생했다며 여행시 주의해야 한다고 8일 밝혔다. 웨스트나일열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감염시 70~80%에게는 무증상이거나 발열, 두통, 전신 통증, 관절통, 구토, 설사, 발진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다만 감염된 사람 중 신경계 감염을 일으킨 경우 10% 치사율이 나타나므로 고령자, 만성질환자, 장기이식 환자 등은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특히 감염된 사람의 수혈, 모유 수유 등으로 전파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감염병은 중동, 미국, 동유럽, 아프리카, 서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올해는 이스라엘에서 6월 이후 감염자가 늘어 지난 6일까지 796건의 감염이 발생했다. 지난 6일까지 미국에서는 네바다주 등 24개 주에서 103건이 발생했으며 유럽에서는 지난달 31일까지 그리스와 이탈리아 등에서 27건 발생이 보고됐다. 한국에서는 2012년 해외유입 감염 사례 보고 후 추가 발생은 없었다. 웨스트나일열의 매개 모기인 빨간집모기와 지하집모기가 서식 중이지만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는 1건도 없다. 예방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