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포유류 종마다 시각 뇌신경망 구조 다른 원인 규명

백세범 교수팀 "신경망 크기에 따라 뇌신경망 구조 달라질 수 있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백세범 교수 연구팀이 포유류 종마다 뇌 시각피질에서 서로 다른 신경망 구조가 나타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포유류 뇌 시각피질에 분포하는 신경세포에서는 외부 자극의 방향에 따라 신경 활동도가 달라지는 '방향 선택성'이 관측된다.

 원숭이, 고양이 등 종에서는 방향 선택성이 연속적인 형태로 변하는 '방향성 지도' 구조를 이루지만 설치류 시각피질에서는 소금·후추를 뿌린 것과 같은 모양의 '소금-후추 구조'의 방향 선택성이 나타난다.

 왜 이런 차이를 보이는지 지난 수십여년 동안 정확히 알려진 바 없었다.

 백 교수 연구팀은 시각피질 신경망 크기, 망막 신경망의 상대적인 크기와 같은 단순한 물리적 차이에 따라 완전히 다른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시각피질이 클수록, 망막이 작을수록 연속적인 방향성 지도가 형성되는 경향이 확인됐다.

뇌 신경망 구조가 기존의 예상보다 훨씬 단순한 원리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백 교수는 "이미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으나 그 의미를 알지 못했던 데이터들을 이론, 수학적인 모델에 적용해 의미를 찾아냈다"며 "생물학 분야에서 이론적 모델 연구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연구"라고 설명했다.

 장재선·송민 박사과정생이 공동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10일 국제 학술지 '셀'(cell)'의 온라인 자매지 '셀 리포츠'(cell reports)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소아외과 의사들 "노동강도·위험도·난도 고려해 수가 높여야"
소아청소년과 외과계 학회들이 성인 환자에 비해 노동강도·위험도·난도 등이 높은 소아 환자 수가를 인상해 '소아외과 기피 현상'을 해결하자고 주장했다. 소아외과계 학회와 연구회 등이 참여하는 대한소아청소년외과의사연합은 26일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CJ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심포지엄을 열었다. 첫 번째 세션인 '붕괴된 소아외과계,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한다'에서 발표에 나선 박성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이사는 소아비뇨 수가 체계의 문제점으로 "성인 수술 대비 낮은 수가, 적용가능한 수가 코드 부재, 소아 수술 난이도 반영의 한계" 등을 들었다. 신창호 대한소아청소년정형외과학회 보험위원도 "현 의료체계에서 수술료는 철저하게 성인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며, 소아정형외과 수술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코드가 없는 것이 많다"고 비판하며 수술료 수가 코드를 정비하고 삭감이 잦은 수술료 심사 절차를 개선해야 의료진의 기피 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미영 대한소아심장학회 이사는 "수가만 인상해서는 소아심장과 등이 기피진료과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별도의 국가 예산을 투입해 소아의료체계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가를 결정하는 구조에서 소아외과 계열 '상대가치'가 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