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 황산화 성분, 폐 굳어지는 폐섬유화증에 효과"

  원인 모르게 폐가 굳어지는 특발성 폐섬유화증(IP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에 녹차의 강력한 항산화 성분인 갈산염-3-에피갈로카테킨(EGCG: epigallocatechin gallate)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발성 폐섬유화증은 원인 불명으로 폐가 섬유화되는 난치성 질환이다. 환자는 폐에서 산소 교환을 못 해 호흡 곤란을 겪고 운동 능력이 저하되며 절반은 평균 3년 이내에 사망할 만큼 예후가 좋지 않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의대 폐 질환 전문의 해럴드 채프먼 박사 연구팀이 IPF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4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만 600mg짜리 EGCG 캡슐을 2주 동안 먹게 했다.

 2주 후 이들의 폐 조직 샘플을 채취, 분석한 결과 두 그룹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EGCG 그룹은 폐 섬유화에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들이 대조군보다 적었다.

 혈액검사에서도 EGCG 그룹이 폐섬유화증과 관련이 있는 두 가지 단백질 수치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 임상시험은 참가 환자가 적은 데다 짧은 기간 진행됐기 때문에 EGCG 캡슐의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될 수 없다고 연구팀은 인정했다.

 이에 대해 미국 폐섬유화증 재단(Pulmonary Fibrosis Foundation) 의료실장 그레고리 코스그로브 박사는 "고무적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EGCG 캡슐이 호흡 기능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특발성 폐섬유화증은 대부분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나타나며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흡연과 가족력이 위험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재는 승인된 치료제가 2가지 있으나 폐 손상의 진행을 차단하지는 못하고 지연시킬 뿐이라서 새로운 치료제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병원급 의료기관을 새로 열기 위한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신청 전에 시도 의료기관개설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다음 달 21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공포된 개정 의료법의 후속 조치로, 병상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의료 자원의 균형 있는 배치를 유도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사전심의 절차' 신설이다. 기존에는 병원 설립 때 시설, 인력 등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비교적 쉽게 개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이 기준 충족 여부와 별개로 시도 단위의 위원회 심의라는 관문을 먼저 통과해야 한다. 정부가 이런 제도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병상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정 지역에 병상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불필요한 의료 경쟁을 유발하고, 정작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효율적으로 의료 자원을 관리하는 게 그 어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