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전국 응급실 504개소 운영…응급의료포털서 안내

정부 "연휴에도 선별진료소·임시검사소 차질 없이 운영"

 이번 설 연휴(2.11∼14)에 전국 응급실 504곳이 평소처럼 24시간 불을 밝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와 임시 선별검사소도 문을 연다.

 보건복지부는 설 연휴 동안 하루 평균 504곳의 응급실이 24시간 진료를 이어나간다고 9일 밝혔다.

 코로나19 선별진료소와 임시 선별검사소도 각각 하루 평균 404곳, 134곳씩 운영한다.

 보건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도 하루 평균 324곳씩 환자를 받는다.

 연휴에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의 정보는 129(보건복지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 120(시도 콜센터)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과 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포털에서 '명절병원'을 검색하면 '응급의료포털 E-Gen'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 주변에 운영 중인 병·의원과 약국, 선별진료소의 위치, 진료 시간과 진료 과목을 알려주는 응급의료정보제공 앱도 있다. 이 앱은 야간진료기관 정보, 자동심장충격기(AED) 위치 정보, 응급처치요령 등도 담고 있다.

 이밖에 중앙응급의료상황실(국립중앙의료원)도 24시간 가동한다. 전국에 있는 재난거점병원의 재난의료지원팀(DMAT)도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하면 출동하기 위해 대기한다.

설 연휴 운영 병·의원 및 약국 수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설 연휴 동안 응급의료센터 방문 건수는 약 11만5천건으로, 하루 평균 약 2만9천건이었다. 평상시와 비교하면 평일의 2.9배, 주말의 2.2배까지 늘었다.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 이유는 폐렴, 감기, 장염, 얕은 손상, 열, 복통, 염좌 순이었다. 교통사고, 화상, 미끄러짐 등 사고로 응급의료센터를 찾는 환자도 평소보다 많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설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응급진료체계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다만 가벼운 질환으로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진료비와 대기 시간이 늘어나므로 되도록 병·의원을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설 연휴에도 선별진료소와 임시 선별검사소가 차질 없이 운영되니 적극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달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심혈관 질환(CVD)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히는 야간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도 밤에는 먹지 않고 낮에만 식사하면 야간 근무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프랭크 시어 교수팀은 10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젊고 건강한 20명을 대상으로 야간 교대 근무를 모방하고 식사 시간을 통제하면서 심혈관 질환 위험 지표 등을 측정하는 임상시험을 실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식사하면 교대 근무 관련 심혈관 질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교대 근무와 관련된 심혈관 건강에서 식사 시간이 수면 시간보다 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교대 근무는 많은 연구에서 관상동맥 심장질환(CHD) 위험을 높이는 등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위험 증가는 생활방식이나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차이로는 완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시어 교수는 야간 근무나 시차 등 일주기 불일치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며 이 연구에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