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만명당 자살자 수 26.9명…2017년 OECD 회원국의 2.1배

 2019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자살률)는 26.9명으로 1년 사이 0.2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 10만명 당 스스로 세상을 등진 이들의 수는 2011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7년까지 대체로 줄다가 2018년부터 다시 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에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지만, 2∼3년 뒤에는 다시 늘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4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발간한 '2021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의 자살자 수는 1만3천799명이다. 한 해 전보다 129명(0.9%) 늘었다.

 하루 평균 자살자 수는 37.8명으로, 전년보다 0.3명 증가했다.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는 26.9명으로, 0.2명(0.9%) 증가했다.

 자살률이 가장 높던 2011년과 견주면 자살자 수는 2천107명(-13.2%), 자살률은 4.9명(-15.3%) 줄었다.

 전체 자살 사망자 중 남자가 9천730명으로 70.5%를 차지했다. 여자는 4천69명(29.5%)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 자살률은 남자(38.0명)가 여자(15.8명)보다 2.4배 높았다.

 자해·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경우는 여자(2만850건, 57.4%)가 남자(1만5천486건, 42.6%)보다 1.3배 많았다.

 2019년 연령대별 자살자 수는 50대가 2천837명으로 가장 많았다.

 자살률은 80세 이상(10만명 당 67.4명), 70대(46.2명), 60대(33.7명) 순이었다.

 10대 자살률은 2017년까지 4.2∼4.9명이었으나 2018년에는 5.8명, 2019년에는 5.9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 해 전과 비교했을 때 2019년에는 20대(9.6%), 10대(2.7%), 60대(2.5%)에서 자살률이 늘었고, 70대(-5.6%), 80세 이상(-3.4%), 30대(-2.2%), 40대(-1.5%), 50대(-0.2%)는 줄었다.

 2019년 청소년(9∼24세) 자살자 수는 876명으로, 2018년보다 49명(5.9%) 늘었다. 같은 기간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9.1명에서 9.9명으로 8.9% 증가했다.

 청소년 자살률은 2017년까지 7명대였으나 2018년 9.1명, 2019년에는 9.9명으로 증가하였다. 5년간 청소년 자살률은 연평균 8.2% 증가했다.

 지역별로 나눠 보면 경기(3천310명), 서울(2천151명), 부산(1천20명) 순으로 극단적 선택을 한 이들의 수가 많았다.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충남(29.1명), 제주(28.1명), 강원(26.4명) 순으로 높았다.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인구 구조가 서로 다른 지역별 비교에 쓰인다.

 극단적 선택은 1년 중 5월(1천274명, 9.2%)에 가장 많이 일어났다. 이어 7월과 10월(1천248명, 9.0%), 3월(1천182명, 8.6%) 순으로 많았다.

 남자는 연령대에 따라 10∼30세는 정신적 어려움, 31∼60세는 경제적 어려움, 61세 이상은 육체적 어려움을 동기로 극단적 선택을 했다.

 여자는 모든 연령대에서 정신적 어려움이 가장 많이 꼽혔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살률(경제협력개발기구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은 23.0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11.2명)의 2.1배 수준이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천18명(잠정치)으로, 2019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감염병, 지진, 전쟁 등 국가적 재난 시기에는 사회적 긴장, 국민적 단합 등의 영향으로 극단적 선택에 따른 사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는 또 코로나 우울 심리방역, 기초연금 인상,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책도 자살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사회 전반의 우울감은 2018년 2.34점에서 올해 3월 5.7점으로 급등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고립감이 계속된 탓이라고 복지부는 분석했다.

 복지부는 "국내외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하는 2∼3년 이후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 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 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건강하게 먹고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좋은 것을 먹고 나쁜 것은 거르되 적당한 양을 올바른 방법으로 먹어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좋은 음식일까? 여기에 대해 답을 하기 위해 지금껏 수없이 많은 사람이 에스키모, 일본인 등 장수하는 사람의 식생활과 생활 패턴을 연구해왔다. 그래서 장수 음식이 무엇인지 밝혀졌을까? 뚜껑을 열어봤더니 공통점이 별로 없었다. 에스키모는 고기를 많이 먹는다. 고지방·고단백 식단이다. 그런데도 심장병에 걸리지 않고 장수한다. 반면 일본 사람들은 생선을 많이 먹는다. 일본인 중에서도 특히 더 오래 산다고 알려진 오키나와 사람의 주식은 고구마다. 평생 고구마를 정말 많이 먹는다. 이 경우는 고탄수화물 식단이다. 요즘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안 좋다고들 하는데, 어떤가? 결론적으로 '이것만 먹으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할 만한 장수 음식은 없다. 또, 고탄수화물, 고단백, 고지방 요법 중 어떤 것도 정답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무엇을 먹어야 할까? 다행히도 장수하는 사람에게는 공통점이 몇 가지 있었다. 그 지역에서 난 신선한 식품, 특히 계절 식품을 복잡한 조리 과정 없이 그대로 먹되 가족이 옹기종기 모여서 정

메디칼산업

더보기
식약처장 "의료기기, AI와 함께 성장…글로벌 시장 선도 지원"
"의료기기 분야는 인공지능(AI)이나 로봇, 가상·증강현실 등 첨단기술이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AI 분야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29일 오유경 식약처장은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8회 의료기기의 날' 기념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식약처는 의료기기에 대한 소비자 이해도를 높이고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의료기기법 제정·공포일인 5월 29일을 '의료기기의 날'로 지정해 매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특히 올해 기념식은 지난 4월 의료기기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개최되는 첫 행사다. 올해 기념식에는 정부·산업계·학계 등 의료기기 관련 종사자 약 250명이 참석했다. 산업발전 및 안전관리 유공자에 대한 포상도 진행됐다. 이날은 총 10점의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세계 최초 배터리 타입의 휴대용 엑스레이 장비를 개발하는 등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기여한 포스콤 박종래 대표이사에게는 은탑산업훈장이 수여됐다. 의료기기위원회 위원장으로 정부와 협업해 의료기기 안전관리 정책 발전에 기여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손호성 교수는 근정포장을 받았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정송 한국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