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2만명분 확보, 추가 물량 협상중"

 

 정부가 미국 제약사 머크앤컴퍼니(MSD)와 화이자, 스위스 제약사 로슈와 경구용 신종 코로나19 치료제(먹는 치료제) 구매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최소 2만명분은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5일 코로나19 치료제 구매와 관련 "MSD, 화이자, 로슈와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협의 과정은 비공개가 원칙이며, 계약이 완료되는 등 일정 시점에 내용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MSD가 개발 중인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검토 중이다. 화이자와 스위스 로슈는 임상 3상에 들어갔고, 국내 제약사들도 먹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 이날 아침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약 4만명을 치료할 수 있는 분량은 예산을 확보했고 2만명분은 선구매 계약을 한 상태"라면서 "FDA 승인을 신청한 회사뿐 아니라 국내 개발 업체의 상황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김 총리가 언급한 계약 물량과 관련해 "2만명분을 포함해 이미 확보된 물량이 있고, 추가로 협의 중인 물량도 있다"며 "구체적인 계약 상황을 현시점에서는 모두 말씀드리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구용 치료제 구매 예산으로 총 362억원을 편성했으며, 이 예산으로 3만8천명분의 치료제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설명에 따르면 1인당 치료제 구매 비용은 95만 정도다.

 정부는 이 치료제를 중증이나 사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큰 코로나19 고위험군에 사용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