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한파가 이어진 지난 18일 오전 광주 북구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온열기기 주변에서 추위를 견디고 있다.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11042/art_16350790987658_a0f6e5.jpg)
기상청이 '한파위험'를 경고한 다음 날 한랭질환자가 늘어나는 패턴이 확인됐다.
한파 피해를 예방하려면 예보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24일 기상청 예보국 영향예보추진팀 김은진·박병권·안용준 연구원이 최근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때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기상청이 작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국 178개 특보구역에 발표한 한파영향예보는 총 4천607건이었다.
같은 기간 한랭질환자는 총 433명이었다.
![지난 겨울 한파영향예보 발표 건수와 한랭질환자 수. [기상청 영향예보추진팀 연구진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http://img6.yna.co.kr/etc/inner/KR/2021/10/22/AKR20211022094500530_01_i_P4.jpg)
한파영향예보는 한파 탓에 피해가 예상될 때 발표된다.
기상청은 작년 11월 한파영향예보를 정식으로 시작했다.
보건 등 6개 분야별로 추위가 어느 정도 피해를 줄지 경고하는 '한파위험수준'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요령을 함께 안내하는 것이다.
한파위험수준은 관심, 주의, 경고, 위험 등 총 4단계다.
관심은 '일상 활동이 조금 불편하고 취약 군에서 일부 피해가 예상되는 수준', 주의는 '예보가 내려진 지역 일부에서 다소 피해가 예상되는 수준'이다.
경고는 '해당 지역 곳곳에서 현저한 피해가 나타나고 그 영향이 단기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준', 위험은 '해당 지역 대부분에게 피해가 발생하며 곳곳에는 극심한 피해가 나타나 장기간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준'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보건분야 한파위험수준과 한랭질환자 수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기상청이 추위로 피해가 예상돼 한파위험수준을 발표한 특보구역이 많으면 이튿날 한랭질환자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파위험수준이 발표된 특보구역 수와 다음 날 한랭질환자 수 사이 상관계수는 0.64로 분석됐다.
한파위험수준이 '경고' 또는 '위험'인 경우로 한정해 분석하면 상관계수가 0.87까지 올랐다.
상관계수는 1부터 -1까지가 범위이며 1이면 정비례한다는 의미고 -1이면 반비례한다는 뜻이다.
![지난 겨울 한파영향예보 발표 건수와 한랭질환자 수. [기상청 영향예보추진팀 연구진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http://img8.yna.co.kr/etc/inner/KR/2021/10/22/AKR20211022094500530_03_i_P4.jpg)
연구진은 "경고 이상의 한파위험수준이 발표된다면 다음 날 한랭질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라면서 "한파영향예보가 한파피해를 줄이는 데 실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