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진료비 4년새 46% 증가…"국가전략 필요"

연간 진료비 41조원…알츠하이머치매·고혈압 순

 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진료비가 4년 사이 10조원 넘게 증가하는 등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전체 진료비에서 노인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늘고 있어 사회 고령화에 맞는 의료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41조5천42억원으로, 2017년(28조3천871억원) 대비 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수로는 13조1천171억원이 늘었다.  가장 많은 진료비가 발생한 질병은 '알츠하이머 치매'로 2조2천93억원의 진료비가 발생했다.

 5년 전보다 6천160억원이 늘었고 전체 노인 진료비의 5.3%를 차지한다.

 '본태성(원발성) 고혈압'(2조994억원),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장애'(1조5천776억원), '뇌경색증'(1조4천711억원) '만성신장병'(1조4천120억원) 등의 진료비도 상위권에 들었다.

 이들 질병의 진료비는 2017년 대비 20∼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 기준으로는 '치은염 및 치주질환'(346만238명), '본태성 고혈압'(316만5천682명), '무릎관절증'(166만761명), '등통증'(163만6천661명), '2형당뇨병'(151만3천412명) 순이었다.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의 65세 이상 진료 인원과 진료비는 지난해 113만3천377명, 4조8천804억원으로 인원은 21.2%, 진료비는 31.1% 늘었다.

 이처럼 노인 진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인구 고령화가 진행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 의원은 "노인 진료비가 급격히 늘면서 사회경제적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며 "고령사회에 맞는 의료체계로 전환하는 데 대한 국가 전략 마련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복합질병으로 인해 많은 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과잉 의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질병에 대한 통합·포괄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역책임의료기관 제도, 노인 주치의 제도 도입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난임부부 체외수정시술 건강보험 급여 20회로 확대
이달부터 난임 부부의 체외수정 시술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적용 횟수가 20회로 확대됐다. 시술 시 배아 종류를 구분해 지원했던 칸막이도 폐지했다. 보건복지부는 2일 아이를 기다리는 난임 부부와 '대한민국의 미래를 찾아가는 대화, 패밀리스토밍'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정책 내용을 공유했다. 그간 건보 급여가 적용된 체외수정 시술은 신선배아 9회, 동결배아 7회 등 총 16회였는데 배아 종류 구분을 없애고, 시술 횟수도 4회 더 늘렸다. 이로써 이달부터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구분 없이 총 20회에 대한 체외수정 시술에 건보 급여가 적용된다. 인공수정에 대한 건보 급여는 기존대로 5회 적용된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소득 기준이 폐지돼 더 많은 부부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가한 난임 부부는 난임 진단과 시술 과정에서의 신체적·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임신에 성공하더라도 출산을 준비하는 과정도 만만치 않다는 현장의 이야기를 전했다. 복지부는 이들의 이야기를 경청한 뒤 향후 정책을 마련하는 데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앞으로도 긴밀한 현장 소통을 통해 간절히 아이를 원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장기능 주요지표 '사구체 여과율' 저하, 측정 방법 따라 예후 차이"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사구체 여과율(eGFR)이 낮게 나타난 노인은 어떤 방법으로 여과율을 측정했느냐에 따라 예후에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장이 1분 동안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정상 90~120ml)인 사구체 여과율은 근육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 크레아티닌의 혈중 수치를 근거로 측정된다. 그러나 크레아티닌 혈중 수치는 연령, 성별, 근육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초기 단계의 신장 기능 저하 지표로는 부정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크레아티닌처럼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 단백질인 시스타틴C의 혈중 수치가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시스타틴C는 비당화 단백질로 세포에서 항상 생성돼 일정량이 유지되며 신장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혈중 시스타틴C의 증가는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크레아티닌보다는 예민하게 사구체 여과율을 추적할 수 있다. 스웨덴 카로린스카 의과대학 의료역학·생물통계학과의 에두아르드 푸 교수 연구팀은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C의 혈중 수치를 근거로 측정한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온 노인은 크레아티닌 혈중 수치만을 근거로 측정한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온 노인보다 예후가 나쁘다는 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방암치료제 '엔허투', 급여적정성 인정…건보적용 관문 통과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가 건강보험 적용을 위한 관문을 통과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는 1일 열린 심의에서 한국다이이찌산쿄의 유방암·위암 등 항암 주사제 엔허투주100mg(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가 급여 적정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엔허투는 HER2(사람 상피세포 증식인자 수용체 2형) 양성 유방암, HER2 양성 위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종에 대해 효능을 인정받았다. 엔허투는 일본 제약사 다이이찌산쿄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가 함께 개발한 신약이다. 작년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내성으로 다른 선택지가 없는 환자들을 위해 (엔허투) 정식 도입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속도를 내달라"는 요청이 올라오고 이에 5만여 명이 동의하면서 주목받은 바 있다. 엔허투는 앞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 협상,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건강보험 적용을 받게 된다. 한편 이날 약제급여평가위는 희귀질병인 유전재발열증후군 치료제인 한국노바티스의 일라리스주사액(카나키누맙, 유전자재조합)에 대해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CAPS),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관련 주기적 증후군(TRAPS), 가족성 지중해 열(FMF) 등에 대한 효능을 인정해 급여 적정성이 있다는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