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수그러들지 않는 물가 오름세, 정책수단 총동원해 막아야

북 미사일 대응한다더니 낙탄 사고로 시민 놀라게 한 군

감사원 총장의 대통령실 보고 문자, 독립기관 맞나

▲ 국민일보 = 카툰 과잉 대응으로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 자초한 문체부

'3+2' 정부조직개편안, 국민 여론 더 듣고 심사숙고하라

뒤로 날아가 추락한 미사일, 북핵 대응 믿어도 되나

▲ 서울신문 = '3대 거악' 척결, 공염불 그치지 말아야

美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인플레법' 반면교사 삼길

있어선 안 될 미사일 오발, 진상 철저히 가려라

▲ 세계일보 = 野 의원 연루 '이스타 채용 비리 의혹', 진상 규명 필요하다

구체화한 정부조직 개편안, 정쟁 불쏘시개 돼서는 안 돼

美, 첨단반도체 對中 수출 차단…민관 합심해 선제 대응해야

▲ 아시아투데이 = 김문수 위원장, 노동개혁 어깨 무겁다

새만금 해상풍력 사업권 중국 매각 거부해야

▲ 조선일보 = 文 사위 이어 野도 이스타에 청탁 의혹, 그래서 이상직 비호했나

北 응징용 미사일이 강릉에 떨어지다니

끝없이 나오는 태양광·풍력의 비리 '대박' 요지경

▲ 중앙일보 = 해외 출장으로 늦게 보고받았다는 IRA 대응 실상

미사일 낙탄 계기로 군사재난 매뉴얼 정비해야

▲ 한겨레 = 고교생 만화 수상작에도 '정치딱지' 붙이는 정부

'성평등 시계' 거꾸로 돌리는 여가부 폐지 중단해야

아군기지 추락 북 대응 미사일, 군 무능·무책임 따져야

▲ 한국일보 = 어이없는 현무미사일 사고, 대응도 무책임했다

김문수, '사회적 대타협' 이끌어 낼 역량 되나

미국, 반도체 中 수출도 규제…전기차 실기 반복 안 돼

▲ e대한경제 = 김정은, '핵이 정권을 지켜주지 않는다'는 것 분명히 알아야

상승세 주춤했지만 여전한 高물가, 위기 고삐 늦춰선 안돼

▲ 디지털타임스 = 스마트농업·청년농 육성, 규제개혁 없인 구호일 뿐이다

정쟁·고성·막말 난무한 국감…이렇게 20일 허비할 텐가

▲ 매일경제 = 쌀 생산에만 매달리는 후진적 농업, 스마트팜으로 돌파구 찾자

새만금 풍력사업 중국에 매각, 기막힌 현실 이것뿐이겠나

美, 반도체 공장 짓고 中수출 봉쇄하는데 韓은 지원법 석달째 방치

▲ 브릿지경제 = 물가 폭등세 둔화? 서민들 허리는 더 휜다

▲ 서울경제 = 교육교부금, 엉뚱한 용도로 날리지 말고 인재 육성에 써라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으려면 낡은 노동법 수술해야

美 첨단 반도체도 대중 봉쇄…'뒷북 대책' 반복하면 안된다

▲ 이데일리 = "법인세 인하 부자감세 아니다" KDI 지적 새겨 들어야

택시대란 해법, 혁신의 싹 자른 국회가 응답할 차례다

▲ 전자신문 = 망 이용대가' 자중지란 안 된다

혁신제품 시범구매 확대해야

▲ 파이낸셜뉴스 = 청년농 길러 스마트팜 하는 게 쌀값 폭락 해법

삼성 '퍼스트 무버' 의지로 반도체 난국 넘는다

▲ 한국경제 = 속속 드러나는 '신재생 복마전'…철저한 수사로 진상 밝혀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職을 걸고 개혁과제 완수하라

생산성 중심의 서울시 공공일자리 개편, 중앙정부도 눈여겨보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