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50조원+α 공급, 적기에 꼭 필요한 곳에만 집행해야

황제 시진핑' 더 강경해진 중, 정밀한 대응 필요하다

김용, 서욱·김홍희 모두 구속, 여야 냉정 대처해야

▲ 국민일보 = 돈줄 마른 자금시장 비상 대책, 시장 불신 잠재울 수 있나

줄줄이 구속…대선자금·월북몰이 실체 반드시 규명해야

시진핑 '1인 천하' 시대, 국제질서의 새로운 도전이다

▲ 서울신문 = 中 '시진핑 1인 체제'의 파열음 철저히 대비해야

'월북몰이' 실체 한발 더 다가선 서욱 구속

野 '이재명 리스크' 떠안고 불섶 뛰어들 텐가

▲ 세계일보 = 우려스러운 시진핑 영수시대, 中 리스크 철저히 대비하길

정부 50조 유동성 긴급 수혈, 이 정도로 '돈맥경화' 풀릴까

최측근 김용 구속…李 대표 궤변 접고 실체규명에 협조해야

▲ 아시아투데이 = 부동산 관련 부실 대출과 투자, 잘 정리하길

요동치는 정국에도 엄정수사로 진실 밝혀야

▲ 조선일보 = 시진핑 독재' 완성, 한반도에 닥쳐올 중국발 안보·경제 위기

서해 공무원 '월북 조작' 첫 구속, 최종 책임자 文이 설명해야

대장동 핵심 "이재명 모를 리 없어", 그런데도 '정치 탄압' 인가

▲ 중앙일보 = 이재명 대표, 이치 안 맞는 '특검 요구' 접고 수사 응해야

심상치 않은 레고랜드발 자금 경색

▲ 한겨레 = 다시 불붙은 촛불집회와 파국 치닫는 정치권

'사정정국' 부른 검찰 수사, 국민 신뢰 얻는 게 관건이다

중국 '시진핑 독주' 시대 개막, 외교 과제 무거워졌다

▲ 한국일보 = 시진핑 3기 출범…한층 복잡해진 정세 대비를

김용·서욱 구속한 검찰, 공정성 더 유념해야

민주당 '사정정국' 대응, 민생과 연계는 안 된다

▲ 디지털타임스 = 자금경색 조기 진화하려면 맞춤대책 신속 과감해야

민주, 공당이라면 특검 주장말고 "黨·李 분리" 고언 새기라

▲ 매일경제 = 종부세 불복 심판청구 3800건 최다, 野 세완화 반대만 할 건가

대통령 시정연설 민주당 보이콧 땐 국정 발목잡기란 비난 거셀듯

온수샤워 줄이고 장작 사는 유럽 에너지 위기, 남의 일 아니다

▲ 브릿지경제 = 제2의 금융·실물위기에 대비해야 할 때다

▲ 서울경제 = 시진핑 장기 집권, 대중국 외교 전략 촘촘히 짜라

촛불로 부패·반인권 범죄 감출 수 없다

채권시장 패닉…더 정교한 비상플랜 가동해야

▲ 이데일리 = 혼란 부추기는 난장판 정치, 이러면서 '민생 우선'인가

살얼음판 자금 시장, 부동산발 리스크 관리 철저해야

▲ 전자신문 = 벤처 지원책, 위기에 더 늘려야

예측가능한 정책의 중요성

▲ 한국경제 = 모처럼 나온 과감한 자금시장 대책, 앞으론 실기 말아야

"노조 손배 판결은 폭력 점거 탓"…이래도 불법파업 조장하나

"권력 축출한 국민의 힘 믿는다"…민주당의 오만과 착각

▲ e대한경제 = '원톱 원팀' 시진핑 3기 출범, 국익 우선의 경제 안보 원칙이 중요

자금시장 경색이 기업 위기나 실물경제 위협 안 되게 해야

▲ 파이낸셜뉴스 = 더 과감한 유동성 공급으로 시장 안정 꾀하길

美·中간 가치와 체제 경쟁에서 버틸 전략 세워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