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 경향신문 = 미 연준의 4연속 자이언트스텝, 장기적 대비책 마련해야

ICBM까지 쏘며 수위 높인 북, 진정 파국으로 갈 건가

대통령보다 경찰청장·장관이 참사를 늦게 알았다는 나라

▲ 국민일보 = 미 금리 인상 수렁에 빠져드는 한국 경제, 새 돌파구 절실

서울청장·용산서장실 압수수색 생략, 초동 수사도 부실하다

북, ICBM까지 발사…안보 역량 강화로 대응해야

▲ 서울신문 = '과밀'에 익숙해진 사회, 일상의 안전시스템 혁신하자

재난 보고·지휘 체계, 이렇게까지 엉망이라니

北 점점 막나가는데 '한국형 3축 체계' 이상 없나

▲ 세계일보 = 美 4연속 자이언트 스텝…경제체질 바꾸는 기회로 삼길

참사' 수준 재난보고체계, 경찰 수뇌부부터 책임져야

北 ICBM 도발·러 무기 지원, 평화위협 불량국가 행태 멈추라

▲ 아시아투데이 = 지금은 금융시장 위기 관리에 유념할 때

보고체계까지 무너진 경찰, 다시 일으켜 세워야

▲ 조선일보 = 고금리·고환율 고통 길어질 텐데 벌써 금융회사 경색 조짐

北은 매일 미사일 쏘는데 우리 요격 미사일은 또 고장

북 ICBM 또 발전, 다음엔 핵실험, 韓 안보 이대로 안 돼

▲ 중앙일보 = 고금리 장기화 우려, 경제도 안전 챙기자

ICBM까지 쏜 북 도발…안보 경각심 무너지면 안 된다

▲ 한겨레 = 연준 추가 금리인상 '압박', 신용경색 시급히 해결해야

ICBM 발사한 북, 출구 안 보이는 한반도 위기

'총체적 무능·부실' 밝히려면 국정조사 불가피하다

▲ 한국일보 = 北 ICBM 도발에 연합훈련 연장으로 맞선 한미

'이태원 참사' 진상 규명 위한 국정조사 서둘러야

참사 당일 마비된 보고체계, 그 자체가 재난

▲ e대한경제 = 북한의 이틀 연속 미사일 도발, 단호하게 대응해야

미국의 4연속 자이언트 스텝, 자금경색 속 한은의 딜레마

▲ 디지털타임스 = '이태원 국조' 추진 민주, 또 정쟁판 되면 안 하는 게 낫다

예상 밖 '파월 폭탄'…재정·통화당국 정책 더 정교해야

▲ 매일경제 = 한전공대에 4200억 퍼붓는 한전, '콩코드 오류'를 걱정한다

달러채 조기상환 불발·파월 발언에 더 불안해진 금융시장

이태원 참사로 AI·빅데이터 재난관리 활용 필요성 커졌다

▲ 브릿지경제 = 더블 3고(苦)' 헤쳐나갈 비책 시급하다

▲ 서울경제 = 경찰이 제 식구 수사…조속히 '검수완박' 위헌 결론 내려야

北 전방위 도발에 즉각 대응 능력 있는지 검증할 때다

다층 경제 위기, 비상플랜 상시 가동해 정교하게 대처하라

▲ 이데일리 = 더 벌어진 한미간 금리차, 환율 불안 해소 최우선해야

정쟁으로 얼룩진 예산 심사…긴축기조 훼손 안 된다

▲ 전자신문 = 재생에너지 정책, 지속성 중요

고금리·고용쇼크' 위기 대책 시급

▲ 파이낸셜뉴스 = 美 4연속 자이언트스텝, 더 길어지는 고통의 터널

미국 주도 '칩4동맹' 참여 실보다 득이 많다

▲ 한국경제 = 北 미사일 날아온다면…위기 대응 매뉴얼도 비상

대기업으로 북상하는 자금경색…철저한 대비만이 살길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