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제2금융권 건전성 비상, 방치하면 금융위기 부른다

윤 대통령, 공식 사과와 문책 왜 머뭇거리나

슬픔 잠긴 국민에게 희망 준 '봉화의 기적'

▲ 국민일보 = 매몰 광부들 '기적의 생환'이 우리 사회에 주는 메시지

할 말 잊게 만든 이태원 참사 당시 경찰 수뇌부 처신

대통령 사과가 신뢰 얻으려면 책임 있는 자세부터 보여야

▲ 서울신문 = 막 오른 예산 전쟁, 내년 위기 첫 방어선이다

北, 7차 핵실험 미몽에서 깨어나라

野 참사 정쟁화 삼가고, 尹 문책 늦추지 말아야

▲ 세계일보 = 레고랜드 이어 보험사發 자금경색, 불길 확실히 잡아야

속속 드러나는 경찰 지휘부 난맥상, 기강해이 도 넘었다

국가애도기간 끝나자마자 국회를 정쟁판 만들 건가

▲ 아시아투데이 = 이태원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에게 경고한다

北 미사일 자금줄 된 암호 화폐 해킹, 국제 제재로 막아야

▲ 조선일보 = "국민 희망 돼 다행" 생환한 이도, 구해낸 이도 모두가 영웅

도 넘은 참사 정치화 세력, 재발 방지엔 관심도 없을 것

북한의 무도한 폭주, 국민 하나 돼야 막아내

▲ 중앙일보 = 이태원 참사 정쟁화 조짐, 옳은 접근법 아니다

막 오른 COP27, 기후위기 대응 뒷걸음질 멈추는 계기 돼야

▲ 한겨레 = 한미 연합훈련 끝났지만 '긴장의 상시화' 우려한다

문책도 국정조사도 않겠다는 대통령과 여당의 무책임

서민 금리부담 완화 대책, 이 정도론 안 돼

▲ 한국일보 = 매뉴얼이 만든 '봉화의 기적'…이태원과 달랐다

尹, 사과와 수습·문책의지 더 명확히 해야

'이태원 참사' 경찰 수사 결과 보고 국정조사해도 늦지 않다

▲ e대한경제 = 대출금리 8%시대, 민생금융대책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제2금융권도 자금경색…뒷북 말고 과감한 선제대책 내놔야

▲ 디지털타임스 = '도돌이표' 정권퇴진 촛불시위, 국민 다수 공감하겠나

7살 사업자까지…前정권 태양광 복마전 실체 밝혀야

▲ 매일경제 = IRA 3년 유예' 美에 제안한 정부, 이참에 외교역량 보여주라

재발방지는 뒷전, 총리·서울시장·내각총사퇴 운운하는 세력들

중대재해, 안전의식과 사전예방이 급선무

▲ 브릿지경제 = 더 춥고 길어지는 경제 한파, 기술 초격차가 돌파구다

▲ 서울경제 = 속속 드러나는 차이나 리스크…충격 완화 방안 서둘러야

이태원 참사' 조속히 문책하고 재난 정쟁화도 멈추라

정치 선동 난무한 이태원 추모 촛불집회…이래도 되나

▲ 이데일리 = 툭하면 발사 오류…군 미사일, 북 도발 대응 이상 없어야

▲ 전자신문 = EU 무역기술장벽, 슬기로운 대응을

첨단전략산업' 디스플레이 지원해야

▲ 파이낸셜뉴스 = 해군의 관함식 참가와 대함 경례 논란은 시대착오

최악 정쟁 속 예산 심의를 정치 볼모 삼지 말라

▲ 한국경제 = 본격화하는 부채 위기…보다 유연한 통화정책 필요하다

감세도 재정준칙도 막아서는 巨野, 대안이 퍼주기 예산인가

슬픔 이기고 성숙한 사회로 가는 길, 정치가 걸림돌 돼선 안 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