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1일 조간)

▲ 경향신문 = 부동산 규제 해제, 경착륙 막되 투기수요는 차단해야

행안부는 손도 안 대면서 구조 애쓴 소방서장 입건한 수사

MBC 기자 전용기 탑승 배제, 언론 자유에 대한 도전이다

▲ 국민일보 = 외국 대사 발언도 왜곡한 김의겸 대변인 경질해야

경착륙 막기 위한 부동산 규제 완화, 차분한 대응 긴요하다

언론 통제하려는 'MBC 전용기 탑승 불허' 결정 철회하라

▲ 서울신문 = 교육과정 개편, 미래와 통합에 초점 맞춰야

참사 희생자마저 '이재명 수사' 방패 삼겠다는 건가

공시가 현실화, 조세저항과 조세정의 균형점 찾길

▲ 세계일보 = 더 강화될 美 우선주의, 안보·경제 충격 없게 면밀 대응하길

편파방송 했다고 대통령 전용기 탑승 배제한 건 과하다

부동산 연착륙 대책 진일보…풀어야 할 규제 아직 많아

▲ 아시아투데이 = 檢, 이태원수사 경찰 맡기고 예산심의 전념해야

프놈펜 한미일 정상회담, 삼각공조 시작되길

▲ 조선일보 = 대통령실의 감정적이고 단선적인 MBC 대응

이태원'을 '세월호' 만드는 데 꼭 필요하다는 희생자 얼굴과 이름

거품 빠지는 부동산·코인, 금융 위기 전이 막아야

▲ 중앙일보 = 부동산 시장 경착륙은 막아야

충격적인 대장동 혐의, 정치공세로 넘길 일 아니다

▲ 한겨레 = MBC 전용기 탑승불허, 반헌법적 '언론통제'다

분열의 시대, '신뢰 회복'의 길 모색한 아시아미래포럼

'용산소방서장 입건'이 국민 공분 사는 이유 돌아봐야

▲ 한국일보 = 집값 연착륙 대책, 실수요자 도움 되게 보완을

행안부·서울시 빼놓은 참사 수사, 성역 없어야

'대통령 전용기 MBC 배제', 언론 길들이기 아닌가

▲ 디지털타임스 = KDI 1%대 성장 전망…구조개혁 안하면 0%대도 난망하다

민주 '이태원 국정조사' 강행…민생 내팽개치기로 작정했나

▲ 매일경제 = 술자리 괴담에 대사 발언도 조작, '민주당의 입' 이대로 괜찮나

법원에 제동걸린 일산대교 무료화, 포퓰리즘에 경종 울렸다

부동산 규제지역 대거 해제, 연착륙 위해 더 과감하게 대응해야

▲ 브릿지경제 = 부동산 정책, 시장·실수요자 안정이 최우선

▲ 서울경제 = 장관 문책 않고 현장 지킨 소방서장 입건, 누가 공감하겠나

"반도체, 경제주권에 중요"…K칩스법 뭉개는 이유 대체 뭔가

부동산 경착륙 공포…'가계 빚폭탄' 선제 대응 나서라

▲ 이데일리 = 자유' '시장경제' 새 교육과정에 복원…늦었지만 옳다

여당의 건강보험기금화 추진, 야당 반대할 이유 있나

▲ 전자신문 = K-콘텐츠 세액공제 지원 절실

규제 공화국' 입법 제동장치 필요

▲ 한국경제 = 한·미·일 정상, 북·중·러 결속에 삼각동맹 굳건히 해야

안팎이 지뢰밭인데 삼성전자 지배구조 흔들겠다는 巨野

이태원 희생자 공개 주장, 애도 가장한 정치적 노림수 아닌가

▲ e대한경제 = 부동산시장 경착륙 방지, 속도감 있는 정책 집행이 관건이다

KDI도 가세한 내년 1%대 성장 전망…혹독한 시련에 대비해야

▲ 파이낸셜뉴스 = 여야 납품단가 연동제 입법 부작용 최소화해야

시장 신뢰 얻으려면 더 선제적이고 과감하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