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이상민 경질 못하고 끝난 이태원 국조, 특검이라도 해야

김성태 압송, 검찰은 예단 없이 엄정하게 수사하라

"UAE 적은 이란", 외교참사라 해도 할 말이 없다

▲ 국민일보 = 무너지는 자영업 생태계…올해가 고비다

'반쪽' 마무리 이태원 국조, 여권 정치적 책임 피하지 말라

다문화가족을 따뜻하게 품는 게 인구절벽 대응 전략이다

▲ 서울신문 = 건설노조 불법행위 엄단해 부패고리 끊어야

초당파 의원들의 정치개혁, 문제는 실천이다

대장동 李 소환·김성태 입국, 검찰 역량 발휘해야

▲ 세계일보 = 정쟁으로 변질돼 상처만 남긴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김성태 압송으로 사법리스크 커진 李, 소환 불응은 안 돼

중국 경제성장 역대급 추락…수출시장 다변화 시급하다

▲ 아시아투데이 =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은 법치 확립의 출발

국회, 입법 규제영향평가 서둘러 도입해야

▲ 조선일보 = '촛불 중고생 연대' 알고 보니 회원 97%가 성인

李·金 서로 "모른다"는데 金 비서실장은 "아는 사이"

문 정부가 부실 수사한 대형 펀드 사기, 이번엔 배후 밝혀야

▲ 중앙일보 = 실내 마스크 의무 풀려도 긴장 늦추지 말아야

"한국은 제2의 고향" 여기에 우리 외교 답 있다

▲ 한겨레 = "UAE의 적은 이란", 윤 대통령의 끝없는 '외교 설화'

정원 줄이면서 철도 안전은 강화하겠다는 국토부

'이태원' 진실 규명, '빈손' 국조가 끝일 수는 없어

▲ 한국일보 = 경제 논리 앞세운 중앙의료원 확대 무산, 재고해야

김성태 수사, 경제사범 봐주기 이번엔 근절 계기로

대통령 "이란, UAE 적" 발언, 외교적 파장 없게

▲ 디지털타임스 = 전 정권서 흐지부지된 옵티머스·라임 수사, 이번엔 끝을 보라

'新중동붐' 지핀 尹세일즈 외교…말 아닌 실행이 뒷받침돼야

▲ 매일경제 = 학생싸움 말린 교사가 아동학대로 수사 받는 기막힌 현실

연초부터 30조 포퓰리즘 추경하자는 이재명, 방탄용 아닌가

중국 성장률 추락에 61년 만의 인구 감소, 한국 대비책 있나

▲ 브릿지경제 = 중대재해 '처벌법' 아닌 '예방법'이 맞는 방향

▲ 서울경제 = 쌍방울 김성태 조사 착수, 말 맞추기 여부까지 철저 규명하라

尹 "저는 대한민국 영업사원"…공무원 갑질 없게 규제 혁파를

'피크 차이나' 신호, 중국 의존 줄이려면 체질 개선 나서야

▲ 이데일리 = 연이은 중동 쾌거, 위기 돌파 견인차 삼아야

정치 개혁 첫발…분열·대립에 마침표 찍길

▲ 전자신문 = 미디어 법 제정, 정부·국회 화답해야

디지털 금융시대, IT보안 중요

▲ 한국경제 = 옵티머스·라임 재수사, 前정권 연루 명명백백 밝혀내라

슬럼프에 빠진 중국 경제, 위기 전염 가능성 대비해야

국토부 "주택기금으로 미분양 매입"…도덕적 해이 조장은 금물

▲ 대한경제 = 이재명 대표, 검찰 소환에 성실히 응해 국민 의혹 푸는게 순리

속속 드러나는 건설노조 불법행위, 부당이득 환수장치 마련해야

▲ 파이낸셜뉴스 = 강제징용 배상 해결, 이제 일본이 성의 보일 때

한·중 방역 빗장 풀고 막힌 수출길 정상화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