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숟가락으로 이사람 저사람…치매노인센터의 충격 실태

먹던 국을 다른 노인에게 부어주며 먹게 해
치매 노인 힘으로 제압해 고통스러워 하기도
노인학대 혐의로 고발돼 관련 기관 조사

 치매 노인들을 보살피는 한 보호센터에서 폭력과 비위생적인 실태들이 영상에 찍혀 그대로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하나의 숟가락이나 젓가락, 포크를 이용해 여러 명의 치매 노인들에게 식사나 간식을 입에 넣어주고, 먹다 남은 국을 다른 노인의 국그릇에 부어주고 먹게 했다. 바닥에 떨어진 젓가락을 씻지 않고 휴지로 닦은 후 노인 식사에 사용했다.

 치매 노인이 말을 잘 듣지 않자 힘으로 제압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도 확인됐다.

 21세기 한국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이런 일들은 경기도 용인시의 치매 전담형 S 주간보호센터에서 거의 매일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실태를 제보한 A씨는 코로나 시국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도 시원치 않은데 한 숟가락으로 여러 노인의 식사를 떠 먹여주는 비위생적인 모습을 보고 너무 놀라 공익을 위해 영상을 촬영하고 사건들을 기록해두었다고 밝혔다.

 A씨는 작년 11월1일부터 이달 초까지 2개월 이상 치매 노인센터에서 벌어진 비위 사실들을 날짜별로 기록하고 영상도 29개나 촬영해두었다.

 그는 최근 S 센터를 노인학대 혐의로 고발, 노인보호전문기관과 관할 구청에서 지난 18일 현장 조사를 나와 폐쇄회로(CC)TV를 확인하고 관계자들을 면담했다. 노인보호기관은 앞으로 최소 2주간의 조사를 거쳐 노인학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구청은 행정처리 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S 센터의 책임자는 처음 관련 사실들을 전면 부인했으나 노인보호기관의 조사가 진행되고 관련 증거들이 공개되자 잘못을 인정했다.

 S 센터 책임자는 "노인보호기관의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받아들이겠다. 있을 수 없는 일이 발생해 너무 화가 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전혀 몰랐다. 관리를 제대로 못 한 불찰이다. 문제의 직원은 시말서를 받고 퇴사시키겠다"고 말했다.

 S 센터는 치매 진단을 받을 노인을 대상으로 연중무휴로 주간에 운영되고 있으며 입소 비용의 85%가 나라에서 지원된다.

 A씨가 촬영한 영상을 보면 지난해 12월 6일 오전 11시 44분에 요양보호사가 숟가락으로 한 노인에게 식사를 입에 넣어준 후 같은 숟가락으로 다른 노인의 국에 밥을 말아주었다.

  같은 달 7일 오전 11시 44분에는 요양보호사가 자신이 샐러드를 퍼먹던 숟가락으로 노인 4명에게 차례로 반찬을 떠주었다.

 같은 달 13일 오전 11시 38분에는 요양보호사가 한 노인에게 국을 떠먹여 주다가 그 국그릇을 들고 이리저리 다니더니 다른 노인의 국그릇에 부어주고 먹게 했다. 요양보호사들의 이런 비위생적인 행동은 아무도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뤄졌다.

 같은 달 27일 오전 9시 16분에는 요양보호사가 노인의 팔을 양손으로 제압하면서 "입 다물어 엄살 부리지 마"라고 말하자 노인이 "아야야야, 안 할게"라고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도 있다. 노인들에 대한 폭력에 가까운 이런 강압적인 행위들도 여러 차례 목격됐다.

 A씨는 "노인의 복지를 위해 존재하는 시설이 노인 인권의 사각지대로 전락한 현실을 목격하고 공익을 위해 나서게 됐다. 코로나 위험이 여전하고 한국의 식문화 또한 개인 접시에 덜어 먹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한 숟가락으로 이분 저분 먹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노인들에게 손가락질과 언성 높이기, 손으로 눌러 제압하기 등의 폭력도 잘못됐다고 본다. 단순히 노인이라고 생각하기 전에 나의 부모님, 조부모님이 이러한 일을 당할 수 있다는 걱정이 앞섰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에 비상진료체계 2년째…올해 지속시 건보적자 1.7조↑
의정 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가 2년째 가동하고 있는 비상진료체계가 올해도 계속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건강보험 재정 전망'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2월부터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를 올해 말까지 유지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1조7천억원 늘어난다. 이는 비상진료체계를 작년 말에 종료했다고 가정한 추계값과 비교한 결과다. 비상진료체계는 보건의료 위기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 등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을 이용해 의료기관을 지원하는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2월 의료개혁 4대 과제와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계획 발표 후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는 등 의정 갈등이 본격화하자,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최상위 단계인 '심각'을 발령했다. 이와 함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일부 진료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를 한시적으로 인상하고, 수련병원에 건보 급여를 선지급하는 등 매달 2천억원 안팎의 건보 재정을 투입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지 시까지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가 작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비상진료 건강보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30년 된 먹는샘물 관리체계 개선한다…해썹 같은 인증제 도입도
정부가 30년 된 먹는샘물 관리체계를 개선한다. 환경부는 이달 말 '먹는샘물 관리 선진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재작년부터 관련 연구용역을 시작하는 등 먹는샘물 관리체계 개선작업을 진행해왔다. 먹는샘물은 지하수와 용천수 등 자연의 깨끗한 물을 먹기 적합하게 만든 물을 말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 상당수가 먹는샘물이다. 환경부는 먹는샘물 원료인 원수(原水)에 대해서는 48개 항목, 먹는샘물 자체에 대해서는 52개 항목의 기준을 두고 분기별로 검사한다. 병원성이 없는 일반세균의 경우 먹는샘물 제품보다 원수에 적용되는 기준이 더 엄격하다. 원수의 경우 저온세균과 중온세균이 1㎖당 각각 '20CFU(집락형성단위·특정 조건에서 생존할 수 있는 세균을 세는 단위) 이하'와 '5CFU 이하'여야 한다. 제품은 저온세균과 중온세균 기준이 각각 '100CFU 이하', '20CFU 이하'다. 애초부터 깨끗한 물로 먹는샘물을 만들란 취지로 이러한 기준이 설정됐는데 업체들 불만이 많았다. 먹는샘물 업체 수질기준 위반 사례 가운데 상당수가 원수 일반세균 기준을 어긴 경우라고 한다. 이에 일반세균 기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이번 선진화 방안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