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세종시의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 실험 주목한다

직장인들만 크게 늘어난 세금, 당국은 형평성 생각해야

'김건희 수사' 필요성 입증한 도이치모터스 판결문

▲ 국민일보 = '50억 클럽' 부실 수사 계속되면 특검 도입 불가피하다

강진을 버텨낸 원칙…튀르키예 에르진市의 교훈

1분에 한 번꼴로 대통령 비판한 야당 원내대표 연설

▲ 서울신문 = 대통령 부부 인형에 활쏘기, 이게 시민단체인가

與 당권 경쟁, 내 덩치 불리는 데만 급급해서야

사회위기 TF, 정부 존재 이유 증명해 보이길

▲ 세계일보 = '난방비 폭탄' 포퓰리즘으로 해결하려는 野 지자체장들

"尹 탄핵" "분당" 운운 與 경선, 민망한 싸움 당장 중단해야

"이재명 체포동의안 찬성" 소신행보 보인 정의당

▲ 아시아투데이 =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검토 검찰 이해진 총수 소환 조사해 위법시 법적 책임 물어야

▲ 조선일보 = 서민은 고금리에 죽을 지경, 은행은 10억 퇴직금 돈 잔치

여전한 에너지 과소비, 새해 40일 만에 무역적자 177억달러

"대통령 탈당" 이어 "대통령 탄핵" 이런 與 경선도 있었나

▲ 중앙일보 = 진전 없이 빈 수레만 요란한 연금개혁

갈수록 팍팍해지는 국민 살림, 더 면밀히 살펴라

▲ 한겨레 = 법안심사 앞두고 '노란봉투법' 또 공격 나선 재계

1년째 무역적자 행진, 교역구조 개혁 고민없는 정부

법원 '김건희 계좌' 명시, 검찰 뭉개면 특검 요구 커질 것

▲ 한국일보 = 5년간 70% 증가한 근소세…월급쟁이 '박탈감' 유의해야

정의당 '50억 클럽 특검' 추진, 명분 있다

노동계 인사 상생임금위 참여, 비난 아닌 격려할 일

▲ 디지털타임스 = 월급쟁이만 쥐어짜는 소득세…낡은 과표 전면 손질해야

판결서 드러난 '김건희 특검' 무리수, 李방탄 말곤 이유없다

▲ 매일경제 = 민생 집중하자면서 '방탄용 특검' 고집하는 민주당의 이중성

나랏빚 폭증에도…재정준칙은 6개월째 국회서 낮잠

재난 고통 커지는 튀르키예에 지원의 손길 이어져야

▲ 브릿지경제 = 노조법 개정 중단 요구가 더 정당한 이유

▲ 서울경제 = 대통령 탓만 하는 巨野, 먼저 반성하고 국정 발목 잡기 멈춰야

경제6단체 "노사관계 파탄" 우려…노란봉투법 강행 멈추라

ESG 평가기관 난립, 고무줄 잣대 바로잡아 신뢰성 높여야

▲ 이데일리 = 갈수록 늘어나는 아동학대…통계 수치가 전부일까

생색 '앞장' 책임 '뒷전'…민주, 얄팍한 무임승차 해법

▲ 이투데이 = 전세 보증,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돼서야

▲ 전자신문 = 챗GPT 빅뱅 대비해야

벤처투자 암흑기 반전 절실

▲ 한국경제 = "은행 돈잔치 안 된다" 오죽하면 대통령이 이런 지적까지 하나

박홍근 "정치 실종, 사회 분열, 자유 위협"…누구 탓인지 돌아보라

1월 지나면 나아진다더니…더 악화된 무역수지

▲ 대한경제 = 용산의 여당 경선 불공정 개입, 역사의 시계바늘 되돌려선 안된다

계약제도 선진화대책 논의할 시기 아니다

▲ 파이낸셜뉴스 = '월급쟁이가 봉' 탄식 없게 조세정의 바로 세워야

美 반도체법 '가드레일' 대처, IRA 전철 답습 말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