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2일 조간)

▲ 경향신문 = 국책연구기관 모두 부정적 의견 낸 설악산 케이블카

동성 커플의 사회보장 권리 인정한 첫 판결 환영한다

'노조 악마화' 윤 대통령, 노사 불균형 너무 심하다

▲ 국민일보 = 월례비로만 243억 챙긴 타워크레인 기사들

야 단독으로 환노위 통과한 노란봉투법…거부권 고려해야

'동성커플 건보 자격' 인정 판결, 대법원이 바로잡으라

▲ 서울신문 = '하얀 석유' 리튬 쟁탈전 적극 대응하길

'이재명 방탄'에 지지율 급락한 민주당

野 '노란봉투법' 강행, 노동개혁 역주행이다

▲ 세계일보 = 월례비 강요·협박 조폭식 노조 횡포 더는 좌시해선 안 된다

우크라전 1년…中, 러 무기 지원 시 신냉전만 고착화할 것

지지율 급락 巨野 '노란봉투법' 강행, 민심 경고 두렵지 않나

▲ 아시아투데이 = 경기둔화 심각한데 섣부른 금리 인상은 독

국힘 전대, 네거티브 자제해 축제로 만들기를

▲ 조선일보 = 파업 조장 '노란봉투법' 기어코 강행, 제 편과 노조만 보는 민주당

'월례비' 뒷돈 243억원 갈취한 노조, 무법천지 건설 현장

李가 민원 들어줄 때마다 10억씩 후원, 이런 식이면 뇌물 천국

▲ 중앙일보 = 거대 강성 노조 개혁 없이 미래는 없다

▲ 한겨레 = 노란봉투법 '거부권' 꺼낸 여당, 정치 복원부터 힘써야

'동성 부부' 건보 자격 인정한 법원, 제도 개선 이어지길

왜곡·과장 동원한 정부의 노조 공격, 도 넘었다

▲ 한국일보 = 법원, 동성반려자 건보 인정…소수자 인권 진일보

'무제한 연임' 제왕적 조합장 선거, 언제까지 방치하나

우크라 전쟁 1년…한반도에도 선명해진 신냉전 구도

▲ 디지털타임스 = 수출·고용 갈수록 태산…규제 대못 뽑아야 극복 가능하다

노란봉투법 환노위 강행처리, 파업천국 되면 누가 책임지나

▲ 매일경제 = 학생 문해력 OECD 평균 미달, 신문 읽기가 답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책임을 서방에 돌린 푸틴의 적반하장

노조 불법·폭력에 전쟁 선포한 대통령, 엄포에 그쳐선 안된다

▲ 브릿지경제 = 노조 회계 투명성 강화가 노동개혁 첫발이다

▲ 서울경제 = 국정철학 다른 방통·권익위원장…자리 버티기 궤변 멈춰야

벌써 180억弗 무역적자…수출 구조 개혁 속도 내라

건설현장 무법천지·회계 공개 거부…노조 개혁 없으면 미래 없다

▲ 이데일리 = 꺾이지 않는 인플레…경기보다 물가 안정이 먼저다

닻 올린 MZ노조, 준법·투명회계로 개혁 마중물 되길

▲ 이투데이 = 부동산 그림자금융에 면밀히 대응해야

▲ 전자신문 = 산업 발목 잡는 국회 벗어나야

데이터센터 유치효과 극대화하려면

▲ 한국경제 = 바이든, 우크라이나 전격 방문…신냉전 확전에 한반도 위험도 높아진다

'中企 기피증' 직업계고 붕괴…노동·교육개혁 미룬 결과다

▲ 대한경제 = 노조 불법행위, 현행 규정만으론 차단 어렵다

지지율 하락 민주당, 민심과 동떨어진 행보 자성해야

▲ 파이낸셜뉴스 = 기득권 압박에 꺾여 버린 '로톡' 혁신의 싹

노조 개혁은 더 지체할 수 없는 시대의 요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