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 경향신문 = 경찰 특진자, 전세 사기보다 '건폭몰이'에 더 배정했다니

총리실 '자화자찬 1년' 성과집, 국정 지지율 30%는 안 보는가

돈 봉투 탈당'은 쇄신 시작일 뿐, 민주당 환골탈태하라

▲ 국민일보 = 탈당만으로는 돈 봉투 의혹 해소도, 신뢰 회복도 어려울 것

석 달 만에 경상수지 대폭 하향 전망, 체질 개선 서둘러야

두 아이의 죽음…여전히 계속되는 '자녀 살해 후 자살'

▲ 서울신문 = 북 해킹 공격받은 선관위 보안점검 거부할 일인가

의료계 갈등·혼란 부채질한 野 결자해지하라

걸음 빨라진 한미 기술동맹, 실질 성과로 이어 가야

▲ 세계일보 = 최저임금 인상 심의, 근로자·기업 상생 적정선 찾아야

공천 개입 녹취' 파문…대통령실 선거법 위반 개의치 않나

민주, 윤관석·이성만 탈당으로 '돈 봉투' 뭉갤 생각 말라

▲ 아시아투데이 = 검찰, 시민단체의 이해진 네이버 총수 고발 뭉갤 작정인가

▲ 조선일보 = 복지 포퓰리즘 수술 나선 유럽, 한국 여야는 포퓰리즘 확대 경쟁

친야 117명에 친여 15명 부른 KBS·MBC…방송 아닌 정치 세력

이재명 문제'에 막혀 한 발짝도 못 움직이는 여야

▲ 중앙일보 = 공천 개입 의혹은 허풍이라는데…잘 안 믿기는 이유

현실로 다가온 AI 시대…기술만큼 제도·윤리 정비 나서야

▲ 한겨레 = 대법원은 '56년 만의 미투' 재심 요청에 답해야 한다

간호법 중재 손 놓고 '의협 편들기'만 하는 정부

외국 언론만 찾는 대통령, 취임 1년 기자회견 하라

▲ 한국일보 = 끝나지 않은 美 은행 위기…방파제 튼튼히 다질 때

尹대통령, 中반발에 "선택 여지 없다"…돌파구 계속 찾아야

쇄신 없이 '돈 봉투 의혹' 탈당만으로 수습되겠나

▲ 대한경제 = 무리한 요구로 전세 피해자 신속 구제 발목 잡는 야당

건축경기 침체 시그널 허투루 봐서는 안 된다

▲ 디지털타임스 = 10년새 14배 해외부동산펀드 리스크…선제 대책 화급하다

前정권 유산 '태양광 과잉'…송전선 확충 등 근원책 세워야

▲ 매일경제 = 北안보리 제재부터 동참하라는 尹대통령, 중국에 할 말 했다

佛 이어 이탈리아도 노동 개혁 시동, 우리는 지금 뭘 하고 있나

SG사태' 일파만파, 주가조작 엄벌 법안 국회 통과 서둘러야

▲ 브릿지경제 = 입법 폭주가 낳은 간호법 파업, 정치권 책임이다

▲ 서울경제 = 공영방송, '편향 패널' 즉각 시정해 공정·중립 보도 실천하라

커지는 기업·가계 부실…금융 리스크 선제적 관리 나서야

尹정부, 3대 개혁 뚝심 있게 추진하고 설득 리더십 보여라

▲ 이데일리 = 한풀 꺾인 소비자물가, 경기부양 카드 아직 아니다

伊, 정권 명운 건 노동 개혁 시동…한국은 헛바퀴만 도나

▲ 이투데이 = SG發 주가조작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 전자신문 = 규제샌드박스 실증조건 완화해야

공공 클라우드 패러다임 전환 계기로

▲ 파이낸셜뉴스 = SG사태에 이제야 칼 뺀 당국, 또 뒷북만 치나

전세포비아' 번지는데 특별법은 늑장 심사

▲ 한국경제 = 정상화돼 가는 주택 재산세, '세금의 정치화' 다시는 없어야

주가조작 사태에서 드러나는 자산가들의 탐욕과 도덕적 파탄

"일하지 않는 나라 미래 없다"…이탈리아 노동 개혁의 타산지석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