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국회의원 '수십억대 코인 거래', 재산공개 손질 서두르라

고립 청소년들의 극단 선택, 언제까지 보고만 있을 텐가

과거사 반성과 사과 기대 끝내 저버린 한·일 정상회담

▲ 국민일보 = '60억 가상화폐' 김남국, 거래내역 스스로 밝혀야

▲ 서울신문 = 하루 이자만 38억원…한전 실효적 자구책 외면할 텐가

'김남국 코인' 철저 수사하고, 재산 신고 의무화해야

미래지향 안보·경제협력 방점 찍은 한일 정상

▲ 세계일보 = 美, IRA보다 센 규제법 추진…뒤통수 맞는 실수 반복 안 돼

'60억 코인' 의혹 김남국, 떳떳하다면 검찰 수사 협조하라

셔틀 외교 복원 尹·기시다, 한 걸음 더 가까워진 韓·日

▲ 아시아투데이 = 김남국, 60억원 가상자산 논란 제대로 소명해야

윤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 현안 대화 나서길

▲ 조선일보 = 후쿠시마 처리수, 과학 우선이지만 국민 정서도 살피길

기시다 답방으로 셔틀 외교 복원, 관계 개선 화답 카드도 내놔야

60억 코인 감추고 "돈 없다" 호소로 후원금 1위, 국민이 우습나

▲ 중앙일보 = 김남국의 60억원 코인…공직자 재산 더욱 엄격, 투명하게

한·일 셔틀 외교 복원, 진정한 미래 협력 발걸음 되길

▲ 한겨레 =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고위험군 보호 만전 기해야

분명한 과거사 사과 없이 '미래'만 강조한 한일회담

김남국 의원, '60억 코인 투자' 경위 투명하게 밝혀야

▲ 한국일보 = 자살 시도 속출 '우울증 갤러리', 언제까지 두고만 볼 건가

소상공인 '대출 회수 유예' 37조원 연착륙 대책 정비돼야

과거 딛고 안보·경제·미래로 향한 한일 정상회담

▲ 디지털타임스 = 5대 은행 만기 연장 대출만 37조…연착륙 대책 실기해선 안 돼

12년 만의 日총리 방한 회담…미래 향한 국익 확보가 우선

▲ 매일경제 = 환경장관 "治水는 이념 아닌 과학", 野는 4대강 사업 폄훼 말라

美 이번엔 '기술표준동맹' 추진, 우리 이익 반영되게 선제 대응을

한일 정상 12년 만에 셔틀 외교, 더 자주 만나 양국 미래 초석 놓길

▲ 브릿지경제 = 금리 역전 폭 175bp 괜찮을지 주시할 때다

▲ 서울경제 = 고위 공직자 암호화폐 보유 공개하고 의혹도 조사하라

美 더 강화된 중국 규제법, '샌드위치' 피해 없도록 외교력 발휘를

日, 더 성의 있는 호응 조치로 '韓日 미래 파트너'로 나아가야

▲ 이데일리 = 위기와 거리 먼 한전 자구안…전기료 인상 납득시켜야

베일 벗은 정치권 코인 투자…윤리·거래방식 문제없나

▲ 이투데이 = 정교한 출구전략으로 '대출 숙제' 풀기를

▲ 전자신문 = 3000만명 이용 5G 투자 지속돼야

셔틀 외교, 복원 넘어 성과 집중해야

▲ 한국경제 = 김남국 의원의 '60억 코인' 의혹, 자금 전모 명백히 밝혀야

코로나 비상사태 해제…팬데믹 사태의 교훈

어렵사리 복원된 한·일 셔틀 외교…이제 더 큰 미래로 나아가야

▲ 대한경제 = 송·변전시설 적기 건설하려면 민자 도입 서둘러야 한다

尹정부 1년, '文 정부' 폐단 정상화 성과에도 '국민통합'은 낙제점

▲ 파이낸셜뉴스 = 부실 대출 뇌관 폭발에 유비무환 자세로 대비를

북핵 공조 강화, 경제협력 복원 합의한 한일 정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