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2일 조간)

▲ 경향신문 = 전세 사기 피해자 네 번째 죽음, 특별법 합의 서둘러라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위기 넘었으나 과제는 많다

'장남의 제사 주재권' 파기한 대법, 차별 없어지는 전기로

▲ 국민일보 = '간첩' 혐의 무더기 구속기소에도 침묵하는 민주노총

징계 마무리한 국힘, 극우와 절연하고 혁신에 나서라

3년 4개월 만의 '코로나 종식' 선언…의료체계 정비 서둘러야

▲ 서울신문 = 온라인 플랫폼 규제, '자율'도 좋지만 '공정' 확보돼야

3년 반 만에 코로나 엔데믹 선언, 메울 틈 많다

북 지령에 맞춰 반정부 투쟁, 민노총 실체 뭔가

▲ 세계일보 = 3년 4개월 만의 코로나 엔데믹, 새 감염병 대비책 세워야

'P2E업계·의원 이익공동체' 의혹, 투자 여부 전수 조사하라

저성장 쇼크·쌍둥이 적자 악화일로…'풍전등화' 한국 경제

▲ 아시아투데이 = 신뢰 상실한 여론조사, 제도적 보완 시급하다

여야 정치권, '김남국 방지법' 제정 서두르길

▲ 조선일보 = 나라 살림은 허덕허덕, 교육청과 지자체는 흥청망청

박원순 미화 다큐에도 침묵하는 민주당, "먼저 인간이 돼라"는 일침

김남국 의원, 게임업체에서 코인 받은 것 아닌가

▲ 중앙일보 = 3년 4개월 만의 엔데믹, 후속 대비가 더 중요하다

코인 게이트로 번져 가는 김남국 의원의 위믹스 투자 의혹

▲ 한겨레 = 더 떨어진 성장률·고용 악화, 천수답 정부는 자화자찬

'노사대등 원칙' 되살린 대법 판결, 정부·기업 되새겨야

'이태원 참사' 서울청장 기소 제동 건 대검, 뭘 원하나

▲ 한국일보 = "질문이 2차 가해는 아니다"는 '박원순 다큐' 감독의 궤변

뒤늦게 가상자산 규제 나선 정치권, 제도보완 서둘러야

코로나 엔데믹 선언…다음 대유행 대비하는 체계 만들어야

▲ 디지털타임스 = 엔데믹 선언됐으나 자율방역 생활화 느슨해져선 안 된다

입법 로비 의혹 '김남국 코인'…정치권으로 수사 확대해야

▲ 매일경제 = 맞벌이 부부 네쌍둥이 출산 기적…기업·정부 역할 더 중요해졌다

한전 적자에 산은 재무 경고음, 기업 돈줄 막힐까 걱정이다

尹 코로나 종식 선언, 국내 소비 살리는 계기 돼야

▲ 브릿지경제 = 전월세 신고제 '꼼수 계약' 못 막으면 효과 없다

▲ 서울경제 = '판결로 정치적 입장 드러내면 안 된다'는 법원 내부의 고언

민노총 "대통령 퇴진" 운운 말고 '북한 지령' 해명 제대로 해야

상반기 0%대 저성장 경고…이젠 경제 살리기 속도 내라

▲ 이데일리 = 알바 뛰거나 취업 포기…청년 일자리 해법 왜 없나

뒤죽박죽 김남국 코인 해명, 당 자체 조사로 끝낼 일인가

▲ 이투데이 = 부채 연착륙 이끌 마스터플랜 절실하다

▲ 전자신문 = 경제 체질 개선 절실하다

엔데믹, 새로운 도약 계기 삼아야

▲ 한국경제 = 지리멸렬 與, 전열 재정비로 집권당다운 모습 보여라

또 연기된 전기료 인상…정치가 좌우하는 요금 결정 구조 손봐야

MS의 거침없는 진격, 도전하지 않는 기업엔 미래가 없다

▲ 대한경제 = 건설 현장 정상화 이제 국회가 나서야 한다

벌써 무역적자 눈덩이, 제조업에 버금가는 서비스업 발전 동력 필요

▲ 파이낸셜뉴스 = 엔데믹 선언, 미적댈 시간 없는 비대면 법제화

'쌍둥이 적자' 가시화, 안이한 인식이 위기 키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