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5일)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2일) 주요공시]
    ▲ DB하이텍[000990] 1분기 영업익 829억원, 54%↓…"전방 수요 부진"
    ▲ 셀트리온제약[068760], 1분기 영업익 95억원…전년 동기 대비 23%↑
    ▲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1분기 영업익 13%↑…"북미 램시마 처방 확대"
    ▲ 한글과컴퓨터[030520], 1분기 영업익 24억3천만원…전년비 42% 급감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1분기 영업이익 8천178억원…작년보다 4.1%↓
    ▲ 코웨이[021240] 1분기 영업이익 1천756억원…작년 동기 대비 1.7%↑
    ▲ 동원산업[006040], 자기주식 350만주 소각…"주주가치 제고"
    ▲ 코스맥스[192820] 1분기 영업이익 138억원…작년 동기 대비 0.5%↑
    ▲ 일신방직[003200] "과테말라 계열사에 180억원 출자"
    ▲ 예스코홀딩스[015360] "대신증권 주식 200억원 추가 취득하기로"
    ▲ 차바이오텍[085660], 1분기 영업익 121억원…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
    ▲ 하이트진로[000080], 1분기 영업익 387억원…작년 동기 대비 33.4%↓
    ▲ 한전KPS[051600] 1분기 영업이익 549억원…작년 동기 대비 143.9%↑
    ▲ 한국전력[015760]공사 1분기 영업손실 6조1천776억원
    ▲ 한화[000880] 1분기 영업이익 1조3천738억원…작년 동기 대비 30.6%↑
    ▲ 한화생명[088350] 1분기 영업이익 7천619억원…작년 동기보다 11.1%↓
    ▲ 한국앤컴퍼니[000240] 1분기 영업이익 329억원…작년 동기 대비 25.4%↓
    ▲ 쏘카[403550] 1분기 영업손실 50억원…30∼40대 이용확대로 적자 축소
    ▲ 현대해상[001450], 1분기 순익 3천336억원…작년 대비 3.5% 감소
    ▲ 원익QnC[074600] 1분기 영업이익 332억원…작년 동기보다 2.4%↓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161390]지 1분기 영업익 1천909억원…51.5%↑
    ▲ 한국콜마[161890] 1분기 영업이익 121억원…작년 동기 대비 6.6%↓
    ▲ 씨젠[096530] 1분기 영업손실 138억원…적자 전환
    ▲ 삼성화재[000810] 1분기 영업이익 8천333억원…작년 대비 21%↑

 

[오늘의 증시일정](15일)
    ◇ 주주총회
    ▲ 엔에이치투자증권(주)[005940]
    ▲ (주)비엠티[086670]

    ◇ 추가 및 변경상장
    ▲ 제이스코홀딩스(주)[023440](BW행사 16만6천959주 1천715원)
    ▲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067630](BW행사 2천607주 1만209원)
    ▲ (주)트루윈[105550](BW행사 1만5천374주 1천713원)
    ▲ (주)자비스[254120](BW행사 32만1천836주 2천175원)
    ▲ (주)메디톡스[086900](주식전환 4천49주 11만2천169원)
    ▲ (주)제놀루션[225220](무상증자 926만6천514주)
    ▲ (주)에이프로젠헬스케어앤게임즈[109960](유상증자 1천614만2천51주 1천239원)
    ▲ (주)신한알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293940](유상증자 1천427만주 5천210원)
    ▲ (주)뉴프렉스[085670](스톡옵션 10만주 2천200원)
    ▲ (주)파수[150900](스톡옵션 2천주 3천453원)
    ▲ (주)에이프로[262260](스톡옵션 2만911주 1천333원)
    ▲ 삼보모터스(주)[053700](CB전환 38만1천82주 5천117원)
    ▲ (주)메디콕스[054180](CB전환 14만4천92주 1천388원)
    ▲ (주)율호[072770](CB전환 53만785주 1천884원)
    ▲ 씨제이씨지브이(주)[079160](CB전환 44주 2만6천600원, CB전환 631주 2만2천원)
    ▲ 케이씨코트렐(주)[119650](CB전환 57만8천562주 2천934원)
    ▲ (주)시티랩스[139050](CB전환 39만5천479주 531원)
    ▲ (주)애니플러스[310200](CB전환 50만1천484주 2천692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목숨 위협하는 독감 합병증…"독감·폐렴구균 백신 접종해야"
대만의 유명 배우이자 가수 구준엽의 부인인 쉬시위안(徐熙媛·48)이 인플루엔자(독감)에 걸린 후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 알려지면서 독감과 폐렴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위험군이나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겐 독감이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독감과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폐렴은 관련 바이러스·세균·곰팡이·기생충 등에 감염돼 호흡기(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기침과 노란 가래, 발열, 늑막염으로 인한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이며 가벼운 폐렴은 감기와 유사하다. 심하지 않으면 항생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지만, 드물게 폐렴이 심한 경우 호흡부전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 위험군은 소아나 노인,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 등이다. 폐렴의 주 원인은 바이러스와 세균이다. 대부분 기도를 통해 병원체가 침입하여 염증이 시작된다. 특히 쉬시위안과 같이 독감에 걸리면 이 같은 병원체 침입에 취약해져 폐렴에 걸리기 쉽다. 정재호 국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독감 바이러스로 인해 몸이 공격을 받은 상태에서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한 2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에 플라스틱 숟가락 한개씩…" 미세플라스틱 탓 치매 가능성 걱정까지
미세플라스틱이 질병을 부를 가능성까지 의심할 정도로 인체를 급속히 오염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멕시코대 연구진은 시신을 수십구 해부해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오염도 추이를 조사한 논문을 학술지 네이처메디신에 3일(현지시간)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2024년 초 시신들의 신장과 간에서는 2016년 시신들보다 7∼3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이는 에베레스트에서부터 마리아나 해구까지 광범위하게 퍼진 미세플라스틱이 사람들 장기에도 점점 많이 쌓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연구진은 예민한 기관인 두뇌에서도 2016년보다 2024년에 50%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관찰됐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매슈 캠펜 교수는 CNN에 "평균 45∼50세 정도인 보통 사람들의 뇌 조직에서 우리가 관측한 농도는 1g당 4천800μg(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이며 무게로 따질 때 0.48%"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 뇌가 99.5%는 뇌이고 나머지는 플라스틱인 셈"이라며 머리에 플라스틱 숟가락이 한 개씩 온전히 들어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사망 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파편 같은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