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가계 빚 줄고 연체율은 급증, 고금리 대책 정교해져야

물류창고에서 온 청년의 비보, 중대재해 비상벨 울려라

노무현이 그리운 이유가 늘고 있다

▲ 국민일보 = 채점 전에 답안지 파쇄…황당한 국가 자격시험 사고

문자폭탄 당원 첫 제명한 민주당, 강성 '개딸'과 결별해야

▲ 서울신문 = '성추행 감찰' 민주당, '박원순 다큐'는 못 본 척하나

종적 감춘 김남국, 산더미 코인 의혹 당장 답하라

있는지 없는지 모를 공수처, 존재 이유 뭔가

▲ 세계일보 = 재정 준칙 뒷전 巨野에 경종 울린 그리스 총선 우파 압승

한·중 전략대화 추진, '샌드위치' 반도체 등 난제 풀어야

채점 전에 답안지 609건 파쇄했다니…국가 관리 시험 맞나

▲ 아시아투데이 = 尹 정부, 불법집회 엄벌해 시위질서 바로 세워야

한상혁 방통위원장, 궤변으로 비리 덮을 수 없다

▲ 조선일보 = 가짜 뉴스 넘치는데, AI 발 가짜 뉴스까지

선관위 '자녀 특혜 채용' 의혹도, 독립성 주장할 자격 있나

"징용 배상금 20% 떼 달라", '과거사 브로커' 이들뿐인가

▲ 중앙일보 = 포퓰리즘보다 개혁…그리스 선택이 한국의 롤 모델

한·미·일 안보 다졌으니, 이젠 '중국 리스크' 잘 관리해야

▲ 한겨레 = 한국 시찰단 간 날 '수산물 수입 재개' 거론한 일본 정부

전세 사기 특별법 아쉬운 피해구제, '보완' 약속 지켜야

'자유' 외치더니 집회 강경 진압 부추기는 윤 대통령

▲ 한국일보 = 차단 안 하는 우울증 갤러리, 자율 규제로 폐해 못 막는다

여성 상관 성희롱, 신고도 묵살…바뀐 것 없는 공군

美日에 한발 늦은 대중 관계 설정…전략적 대화 서둘러야

▲ 디지털타임스 = 공정이 생명인 선관위가 자녀 특혜 채용 복마전이었다니

노란봉투법 직회부 임박…巨野, 친노조 정당 전락할 셈인가

▲ 매일경제 = 의대 정거장 된 서울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비정상

"이승만은 내란 수괴" 대한민국 국회의원 입에서 나온 말 맞나

'퍼주기 포퓰리즘' 심판한 그리스, 우리 정치인들도 정신 차려야

▲ 브릿지경제 =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시행 혼란 없어야

▲ 서울경제 = 포털 본래의 역할로 돌아가고 공정성·중립성 지켜라

공공질서 흔드는 노조 시위 엄정 대처해 국민 불편 최소화해야

"6월부터 적자 개선" 안이한 자세 벗어나 비상 수출대책 세워라

▲ 이데일리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6·25 참화 극복 경험을 공유하자

野, 심야 옥외집회 금지 반대…오밤중 무법천지 상관없나

▲ 이투데이 = "불공정거래 척결", 실천이 중요하다

▲ 전자신문 = 엉터리 코인 공시, 제도화해야

자동차 산업 수출 총력 기울이자

▲ 한국경제 = 다급한 재정준칙법, 언제까지 '운동권 퍼주기'에 볼모 잡혀야 하나

건국 대통령을 '내란 살인죄 수괴'라니…어느 나라 의원인가

'망국병' 포퓰리즘과 결별 선택한 그리스 국민들

▲ 대한경제 =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한국-폴란드 원팀으로 성과 기대

저성장 한국 경제위기 극복은 SOC 투자 확대뿐이다

▲ 파이낸셜뉴스 = 새 출발 한화오션 정상화의 첫 단추는 노사협력

反포퓰리즘으로 총선 압승한 그리스 중도우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