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1일 조간)

▲ 경향신문 = 새마을금고·부동산 PF 덮친 금융 리스크, 선제 관리하라

재생에너지보다 원전 더 짓자는 급변침, 한국만 거꾸로다

1000명 육박한 미신고 영아 수사, 사회안전망 강화 시급하다

▲ 국민일보 = 공직부패 표상 '전별금·떡값', 선관위엔 버젓이 존재했다

'클럽 마약' 20만명분 적발…밀수 대책 더욱 강화해야

▲ 서울신문 = 선관위 60년 감시 없던 결과가 역대급 금품수수

아슬아슬 새마을금고 이제 손볼 때 됐다

'개방직' 연봉 상한 폐지, 공직사회 바람 불어넣길

▲ 세계일보 = 선관위 직원들이 민간위원에 돈 받아 골프치고 여행 갔다니

나토 회의 가는 尹, 오염수·우크라 재건 참여 성과 내길

국격 떨어트리는 野 의원단의 '보여주기' 오염수 방일 쇼

▲ 아시아투데이 = 야당 오염수 저지단, 국격만 떨어뜨린다

윤 대통령 유럽행, 미래산업 세일즈 새지평 연다

▲ 조선일보 = 금리 억누르기 부작용, '영끌 빚투' 다시 나타나고 있다

'아빠 찬스' '소쿠리 투표' 선관위, 이번엔 128명 무더기 청탁금지법 위반

"바다는 깨끗한데 정치가 오염됐다"

▲ 중앙일보 = 의료노조 파업 임박…정부가 진정성 보이며 설득하라

고독사 절반이 5060 남성, '사회적 질병' 관심 기울여야

▲ 한겨레 = 야당 공격에 공무원까지 동원, 금융위뿐인가

변경 종점 김건희 일가 땅 11일 전에 알았다는 원 장관

윤 대통령, '우려 해소'까지 오염수 방류 중단 요구해야

▲ 한국일보 = 1000명까지 늘어난 미등록 아기…'익명출산제' 검토해야

와해 위기 정의당, 민심 외면 원인부터 성찰해라

野의원 10명 오염수 항의 방일, '보여주기식'이어선 안돼

▲ 대한경제 = 공전과 파행으로 점철된 최저임금위, 결정 체계 바꿔야

보조금 부정수급, 국민 모두 감시자가 돼야 한다

▲ 디지털타임스 = 민노총 정치파업 동참 보건의료노조, 명분·실익 모두 잃는다

사실에 눈감고 의혹에 중독된 巨野…국정 파트너 자격 없다

▲ 매일경제 = 대한민국 흔드는 공조직 모럴해저드

▲ 브릿지경제 = 해운 분야 '넷제로', 정부가 뒷받침해야 한다

▲ 서울경제 = 文정부 사드 정상 배치 지연 의혹 규명해 책임 물어야

'가치 연대' 강화로 북핵 억지·우크라 재건 사업 성과 거둬야

勞 최저임금 과속 인상 요구…일자리 없애는 자충수 접을 때다

▲ 이데일리 = 진흙탕 싸움 양평고속도로…주민 의사가 최고 잣대다

신뢰 '바닥' 새마을금고 감독, 금융위 이관 늦출 것 없다

▲ 이투데이 = 한류 경제효과 37조 원…K-콘텐츠 보강 시급하다

▲ 전자신문 = 유턴 기업 유치에 더 센 유인책을

벤처투자 혹한기 반전시킬 신호 필요

▲ 파이낸셜뉴스 = 가전 제친 K콘텐츠, 정부 지원·기업 투자 절실

野의원들의 일본 원정 시위, 국격 훼손이다

▲ 한국경제 = IAEA 수장 모욕에 日 총리 관저 시위까지…민주당의 끝없는 억지

실업 양산하는 실업급여…근로의욕 떨어뜨리는 '복지 함정' 깨야

현대車 노조, 왜 민노총 정치투쟁에 총대 메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