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70년대 서울의 결핵 대응 어땠나…서울기록원, 콘텐츠 공개

보건복지·아동복지·주택개발 등 주제 기록콘텐츠 공개

 서울기록원은 시민의 삶에 직결되는 주제인 보건복지, 아동복지, 주택정책과 관련된 기록을 선별해 신규 기록콘텐츠로 제작·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서울기록원은 1948년 정부수립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울시의 보건정책에 대해 주목했다.

 서울기록원은 '서울의 결핵관리 체계와 보건'이라는 새로운 기록콘텐츠를 통해 한국 사회에 널리 퍼졌던 전염병 중 하나인 결핵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시가 이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지 기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기록은 '시범결핵관리소 설치·운영을 위한 협정 체결의 건'(1961), '결핵관리요원 채용'(1970), '결핵환자촌 처리방안에 따른 연석회의 개최'(1970) 등이 있다. 1960~70년대에 결핵에 대한 서울시의 대응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또 서울기록원은 시의 주택정책 변천사를 다룬 신규 콘텐츠 3편도 공개한다.

 3개 신규 콘텐츠는 '1950∼1960년대 서울시 주택형태의 변화', '서울, 도시의 확장과 국민주택 건설', '서울의 주택개발과 도시개발'이다. 이들 콘텐츠는 서울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직면한 주거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보여준다.

 또 서울기록원은 매년 소장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카탈로그 북을 발간하고 있는데, 올해 카탈로그 북의 주제는 '주택'으로 선정했다.

 이번 카탈로그 북에는 1960년대부터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계획과 주택정책의 변천사가 담겨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서울기록원 기록콘텐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기록원 홈페이지(https://archives.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경희 서울기록원 원장은 "이번에 새롭게 공개되는 기록콘텐츠는 서울시민들의 삶에 깊이 연관된 주제를 다루고 있어, 과거의 정책이 현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서울기록원은 서울시 중요 기록을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적정 의사 수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 완료…내달 초 첫 회의
보건복지부는 31일 향후 의사인력이 얼마나 필요한지 추계하는 독립 심의기구인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위해 보건의료 공급자단체, 수요자단체, 학회·연구기관 등 21개 관련 단체·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전문가를 추천받았고, 이 가운데 전문성 등을 고려해 위원 15명을 위촉했다. 15명의 위원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등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8명,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등 수요자 단체 추천위원이 4명,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은 3명이다.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과반을 차지한다. 수급추계위원장은 추후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호선할 예정이다. 수급추계위원회는 8월 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중장기 의사 인력 수급추계를 위한 모형, 방법, 가정, 변수 등 구체적인 사항을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향후 위원회 일정 등은 1차 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정한다. 복지부는 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해 수급추계의 전문성·독립성·투명성과 추계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의사인력 수급추계는 2027년 이후 의대 정원 결정과 의사인력 정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