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온라인 구매가 대세…의류·패션용품 제치고 1위

 지난해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시민이 가장 많이 구매한 품목은 식품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3년 전자상거래 이용실태 및 소비자 피해분석'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전자상거래 이용 소비자 2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온라인으로 가장 많이 구매하는 품목은 식품(65.5%·복수응답)이었다.

 식품은 올해 처음으로 의류·패션용품(58.5%)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생활용품(46.7%), 화장품(19.9%), 농수산물(17.9%) 순이었다.

 1회 평균 쇼핑금액은 6만6천500원으로 남성이 6만8천900원, 여성이 6만5천200원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6만9천400원으로 액수가 가장 컸다.

 쇼핑 횟수는 주 2회 이상 온라인쇼핑을 한다는 답변이 34.3%로 가장 많았다.

 쇼핑 방법은 포털·가격비교사이트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을 검색 후 최저가 쇼핑몰에서 구매한다는 응답자가 46.5%로 가장 많았다.

 월정액 회비 등을 지불한 유료 멤버십 쇼핑몰에서 구매한다는 응답자는 24.3%였다.

 주로 이용하는 쇼핑몰 유형은 오픈마켓(89.4%·복수응답), 배달앱(87.8%), 종합몰(76.9%), 전문몰(62.2%), 여행플랫폼(58.4%) 순이었다.

 또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상담은 6천460건으로 전년(8천723건)보다 약 26% 감소했다.

 피해유형은 계약취소·반품·환불 지연이 34.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사기·편취(17.8%), 배송 지연(16.2%) 등 순이었다.

 특히 사기·편취(1천149건)와 예매·예약서비스 피해(364건) 건수는 각각 전년의 2.7배, 2.4배로 늘었다.

 피해 품목은 의류(23.3%), 신발·가방·패션잡화·귀금속(16.7%), 레저·문화·아이돌굿즈(13.6%) 등 순이었다.

 센터는 지난해 접수된 피해상담 중 37.5%에 달하는 2천424건에 대한 적극적 구제를 통해 총 7억3천687만원을 소비자에게 돌려줬다. 1천628건은 중재를 통해 계약이행·교환·합의를 끌어냈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