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 오르는 외식물가…35개월째 전체 평균 상회

외식·식품 가격 줄줄이 인상…외식 39개 중 내린 품목 없어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달에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돌면서 이런 현상이 약 3년째 지속됐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4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다.

 이로써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이 2021년 6월부터 35개월째 이어졌다.

 그러나 외식 물가 상승률과 전체 평균 간의 격차는 0.1%포인트까지 좁혀져 2021년 6월 역전 현상이 발생한 이후 가장 작다.

 이는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4.3%, 2월 3.8%, 3월 3.4%, 4월 3.0% 등으로 둔화세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이달에도 둔화세를 보이면 3년 만에 전체 평균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26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돌다가 2월에 역전돼 지난달까지 석 달째 전체 평균을 하회 중이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6%로 전체 평균보다 1.3%포인트나 낮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 35.6%인 26개는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설탕이 18.6%로 가장 높고 이어 소금(17.4%), 양주(10.6%), 건강기능식품(8.7%), 발효유(6.7%), 우유(6.2%) 등 순이다.

 소주(-1.3%)와 밀가루(-2.2%), 라면(-5.1%), 김치(5.5%) 등 26개 품목은 물가가 내렸다.

 하지만 외식 물가 상승률이 평균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은 예상보다 늦어질 수도 있다. 최근 식품·외식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며 둔화세에 제동이 걸리고 있어서다.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이 지난달 바른김밥 등의 가격을 인상했고 치킨 프랜차이즈인 굽네는 9개 메뉴 가격을 1천900원씩 올렸다.

 맥도날드도 지난 2일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올렸고 피자헛도 같은 날부터 갈릭버터쉬림프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 달 가나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언제까지 제품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만 있을 수 있겠느냐"며 "원재료 가격이 올라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기업들이 줄줄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한훈 차관 주재로 식품·외식기업 관계자들을 불러 간담회를 열고 물가안정을 위해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표] 월별 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률과 격차 추이 (단위: %, %포인트)

 

연월 총지수 가공식품 외식 가공식품-총지수 외식-총지수
2021.01 0.9 1.2 1.3 0.3 0.3
2021.02 1.4 1.2 1.5 -0.2 0.1
2021.03 1.9 1.5 2.0 -0.4 0.1
2021.04 2.5 1.7 2.4 -0.8 -0.1
2021.05 2.6 1.4 2.4 -1.2 -0.2
2021.06 2.3 1.3 2.6 -1.0 0.2
2021.07 2.6 1.8 2.8 -0.8 0.2
2021.08 2.6 2.3 3.1 -0.3 0.5
2021.09 2.4 2.5 3.2 0.1 0.8
2021.10 3.2 2.8 3.4 -0.4 0.3
2021.11 3.8 3.4 4.1 -0.4 0.3
2021.12 3.7 3.8 4.8 0.1 1.1
2022.01 3.8 4.5 5.4 0.7 1.6
2022.02 3.8 5.6 6.1 1.9 2.4
2022.03 4.2 6.4 6.6 2.2 2.4
2022.04 4.8 7.3 6.6 2.5 1.9
2022.05 5.3 7.6 7.4 2.2 2.1
2022.06 6.0 7.9 8.0 1.9 2.0
2022.07 6.3 8.2 8.4 1.8 2.1
2022.08 5.7 8.4 8.9 2.7 3.1
2022.09 5.5 8.7 9.0 3.3 3.5
2022.10 5.6 9.4 8.9 3.8 3.3
2022.11 5.0 9.2 8.6 4.2 3.6
2022.12 5.0 10.0 8.2 4.9 3.2
2023.01 5.0 9.7 7.7 4.7 2.7
2023.02 4.7 9.9 7.5 5.3 2.8
2023.03 4.2 8.8 7.3 4.6 3.2
2023.04 3.7 7.6 7.5 3.9 3.8
2023.05 3.4 7.0 6.8 3.7 3.4
2023.06 2.7 7.3 6.2 4.5 3.5
2023.07 2.4 6.6 5.8 4.2 3.4
2023.08 3.4 6.1 5.2 2.7 1.8
2023.09 3.7 5.7 4.8 2.0 1.1
2023.10 3.8 4.9 4.7 1.1 0.9
2023.11 3.3 5.1 4.8 1.8 1.5
2023.12 3.2 4.2 4.4 1.0 1.2
2024.01 2.8 3.2 4.3 0.4 1.5
2024.02 3.1 1.9 3.8 -1.2 0.7
2024.03 3.1 1.4 3.4 -1.7 0.3
2024.04 2.9 1.6 3.0 -1.3 0.1

 

(자료=통계청)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