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탈에 '동네의원'은 늘었다

올해 2∼6월 진료비, 상급종합병원은 작년비 17.5%↓…의원은 2.4%↑
동네의원, 전공의 집단사직 '반사이익'…한지아 의원 "상급종합병원 진료역량 유지토록 지원해야"

 올해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비는 급감했지만, 동네 병의원은 되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최근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의원·병원·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등 모든 종별 의료기관의 전체 진료비는 28조5천923억7천만원으로, 전년 대비 4.7% 감소했다.

 특히 전공의 의존도가 높았던 상급종합병원의 감소 폭이 컸다.

 반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병원급 및 의원급 의료기관 진료비는 되레 늘었다.

 올해 2∼6월 병원 진료비는 3조8천998억8천만원으로 2.6% 늘었고, 의원은 10조5천680억6천만원으로 2.4% 증가했다.

 이는 전공의 이탈로 의료 공백이 생긴 상급종합병원 등을 피해 환자들이 병원이나 의원 등으로 발길을 돌린 결과로 분석된다. 동네의원들이 전공의 집단사직의 '반사이익'을 누린 셈이 됐다.

 의료기관은 병상 수와 진료과목 범위 등에 따라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으로 분류된다.

 진료 건수와 진료 인원은 모든 의료기관에서 줄었으나, 상급종합병원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이 기간 전체 의료기관 진료 건수는 3억509만6천건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다.

 그중에서 상급종합병원은 1천749만7천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9%(306만8천건) 급감했다.

 종합병원 진료 건수는 2천827만9천건으로 11.2%, 병원은 2천485만7천건으로 9.0%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의원의 진료 건수는 2억3천446만2천건으로 4.4%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작았다.

 진료 인원 역시 전체 의료기관으로 보면 4.2% 줄어들었다.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11.3%), 종합병원(8.9%), 병원(8.0%), 의원(2.2%) 순이어서 역시 의원의 감소 폭이 가장 작았다.

 한 의원은 "의료공백 장기화로 인해 중증·응급·희귀 질환 환자의 진료를 전담하는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며 "추가 재정 지원방안 등 상급종합병원의 진료역량이 위축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표] 2023∼2024 종별 월별 진료비 현황(단위:천원,건,%)

 

종별구분 입원/외래 2023(2∼6월) 2024(2∼6월) 증감건수 증감율
상급
종합병원
외래 3,073,597,824 2,850,183,752 -223,414,072 -7.3%
합계 8,319,905,195 6,866,957,769 -1,452,947,426 -17.5%
종합병원 외래 2,650,474,286 2,437,458,396 -213,015,890 -8.0%
합계 7,555,275,810 7,257,426,678 -297,849,132 -3.9%
병원 외래 1,373,429,468 1,328,998,048 -44,431,420 -3.2%
합계 3,800,842,458 3,899,883,104 99,040,646 2.6%
의원 외래 9,598,800,416 9,800,726,695 201,926,279 2.1%
합계 10,316,927,205 10,568,059,008 251,131,803 2.4%
합계 29,992,950,668 28,592,326,560 -1,400,624,108 -4.7%

 

※ 한지아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재구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