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헬스' 업데이트…복약 관리 기능 등 제공

 삼성전자는 23일 '삼성 헬스' 앱 업데이트를 통해 건강 관리 기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따르면 이날부터 국내에서도 삼성 헬스 앱 복약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복약 기능은 지난해 미국에 먼저 도입된 후 사용자 약 3분의 2가 주 3회 이상 활용하고 있을 만큼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능은 사용자의 복약을 관리하고, 약물의 용법과 부작용, 복용 시 주의사항 등 정보를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대한약사회 산하 약학정보원과 협력해 임신 중 피해야 할 약물에 대한 알림 기능도 추가로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업데이트를 통해 병원, 진료소, 주요 의료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다양한 의료 기록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건강 기록' 기능이 도입된다.

 추가 검사나 후속 조치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고 치료 이력, 검사 결과, 예방접종과 의약 처방 여부 등 종합적인 건강 기록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삼성 헬스 음식 부분에서는 바코드 스캔이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수기로 입력했던 음식의 칼로리와 영양 성분을 한 번의 바코드 촬영으로 간편하게 기 록할 수 있다.

 새로운 기능은 안드로이드 10 이상의 운영체제(OS)가 설치된 스마트폰의 삼성 헬스 앱 버전 6.28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다. 건강 기록과 바코드 스캔 기능은 미국에 먼저 도입되고 향후 국내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약 '위고비·마운자로' 오남용심각…정부 "우려의약품 지정"
정부가 '위고비', '마운자로' 등 신종 비만 치료제의 오남용 문제에 칼을 빼 든다. 미용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이들 약물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의약분업 원칙을 위반한 의료기관의 '원내조제'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최근 이들 약물은 본래의 당뇨병 치료나 고도비만 환자 대상이 아닌,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게까지 '살 빼는 주사'로 알려지며 미용 목적으로 처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오남용 실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허가 기준을 벗어난 처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명한 입장을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협의해 해당 약물들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약물들은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기적의 약'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전문의약품인 만큼 뚜렷한 부작용 위험을 안고 있다. 가벼운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 등 소화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심각하게는 췌장염이나 장폐색(장 마비) 같은 치명적 합병증까지 보고된 바 있다. 의약분업 원칙을 둘러싼 '원내 조제' 논란도 정부의 관리·감독 대상에 올랐다. 현행 의약분업 원칙상 의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