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세포 이용한 조기 난소 부전 치료 임상연구 심의 통과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 림프구 이용한 치료법 연구도 '적합'

  보건복지부는 지난 19일 제12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를 열고 첨단재생의료 임상 연구과제 9건 중 2건을 '적합' 의결했다.

 적합 의결된 과제는 조기 난소 부전 환자에게 기계적 방식으로 분리한 자기 지방 유래 기질혈관분획을 투여하는 저위험 임상 연구다.

 조기 난소 부전은 40세 이전에 조기 폐경돼 여성 불임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다.

 폐경 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호르몬대체요법 등은 유방암이나 혈전 발생과 같은 부작용이 있고, 근본적인 난소 회복은 어렵다.

 아울러 기질혈관분획을 분리할 때 다양한 크기의 미세 모공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기계적 방식을 사용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효소 처리 방식보다 지방에 포함된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발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에 침투한 림프구를 이용한 치료를 하는 중위험 임상 연구도 적합 의결됐다.

 환자의 종양에 침투해 암세포와 싸우는 면역세포인 T림프구는 종양세포만 식별해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당 연구는 종양에 침투한 림프구를 분리·배양해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 다시 투여해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치료법은 기존 항암 화학요법과 달리 정상세포를 공격하지 않아 부작용을 완화할 가능성도 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임상서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효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동물실험에서의 안전성·효능 검증) 단계에서 염증 억제 효과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4일 현대바이오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자회사 현대ADM과 함께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 중간 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페니트리움은 면역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닌, 염증을 지속시키는 병리적 구조인 섬유아세포(CAF)와 세포외기질(ECM)을 제거하는 구조 기반 치료 전략을 따른다. 이 치료제는 이른바 '가짜내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현대바이오는 주장했다. 가짜내성은 약물 자체의 문제가 아닌 ECM의 병적 경직화에 의해 약물과 면역세포의 접근이 차단되는 현상을 말한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에서 페니트리움은 단독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인 면역억제 치료제(MTX) 대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면역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완전관해도 관찰됐다고 한다. 완전관해는 질병의 징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완치와는 다르다. 회사는 페니트리움 투약 9일 만에 효능이 입증됐다면서 용량을 높일수록 더 큰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고 전했다. 또 췌장암, 유방암 동물시험과 유사한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