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분간 멈췄던 심장이 다시 뛰었다…"기적을 선물 받았습니다"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인한 심정지 환자, 이대서울병원서 소생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35분간 심정지 상태였던 환자가 기적적으로 살아난 사연이 뒤늦게 알려졌다.

 2개월여간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와 보호자는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의료진에게 감사하며 "기적을 선물 받았다"고 말했다.

 18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일 오전 10시께 경기도 파주시 자택에서 샤워 중이던 권모(84) 씨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

 치매를 앓던 권씨를 곁에서 돌보던 아들이 발견하고 즉시 119에 신고했다.

 권씨는 평소 진료받던 경기도 고양시 종합병원 응급실로 이송됐다가 검사 결과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진단돼 긴급 수술이 가능한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권씨와 보호자는 같은 날 오후 5시 30분께 이대서울병원 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 도착했으나 권씨의 심장이 멈춘 상태였다.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송석원 교수팀은 권씨가 도착하자마자 35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지만, 심장이 뛰지 않아 수술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아들이 오열하며 "아버지가 오랫동안 치매를 앓았다. 아버지랑 마지막으로 제대로 된 대화를 해본 지가 너무 오래다. 꼭 소생시켜 달라"고 말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환자의 심장이 뛰기 시작했고, 송 교수팀은 때를 놓치지 않고 즉시 수술에 들어갔다.

 환자는 무사히 복부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술을 받은 뒤 중환자실로 들어갔다가 약 3주 뒤에는 일반 병실로 이동할 정도로 호전했다.

 이후 심폐 기능 회복, 근력 및 지구력 강화 등 재활치료를 거쳐 지난 14일 퇴원했다.

 이런 사연은 아들 권씨가 퇴원하며 '송석원 교수님과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의료진들에게 드리는 글'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남기며 알려졌다.

 그는 "아버지가 일반 병실로 온 후 송석원 교수가 첫 회진 때 '아버님은 정말 기적이었다'고 말해주셨는데 저야말로 교수님을 만난 것이 기적이었다"고 전했다.

 송 교수는 "매일 초응급환자를 마주하지만 이렇게 35분 동안 뛰지 않던 심장이 다시 뛰어 살아난 경우는 드문 사례로 그저 기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며 "아들의 간절한 염원 덕분에 기적이 일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한국오가논 "산후출혈, 모성사망 주요 원인…'제이다'로 치료"
한국오가논은 "산후 자궁 출혈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제이다 시스템'으로 안전한 출산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19일 밝혔다. 이날 김소은 한국오가논 대표는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이다 출시 기념 미디어 세션에서 이 같은 구상을 전했다. 제이다는 비정상적인 산후 자궁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개발된 음압 유도 출혈 조정 장치로 작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자궁의 생리적인 수축을 유도해 산후 자궁 출혈을 조절·치료한다. 산후 출혈은 누적 혈액 손실이 1천㎖ 이상이거나 분만 후 24시간 이내 저혈량증의 징후나 증상을 동반한 혈액 손실을 의미한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자궁무력증으로 이 경우 자궁 수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출혈이 지속된다. 이날 발표한 조금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한국에서 2021년 기준 모성사망의 가장 큰 원인은 진통 및 분만 합병증(분만 후 출혈·자궁무력증 등)으로 전체 34.8%를 차지한다"고 했다. 조 교수는 "산후 출혈을 겪는 산모에게는 적절한 의료 장치의 활용이 매우 중요하지만, 의료진은 제한된 치료 옵션 등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제이다는 산모 안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