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약 스타틴, 난소암 예방에도 도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이 난소암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Bristol) 대학 의대의 리처드 마틴 임상역학 교수 연구팀은 스타틴이 작용하는 표적 효소인 HMG-CoA 레둑타제를 억제하는 변이유전자를 지닌 여성은 난소암 위험이 40%나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8일 보도했다.

 이 효소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 low-density lipoprotein) 생산을 촉진하는 단백질로 스타틴은 이 단백질을 억제해 LDL을 감소시킨다. 그래서 스타틴의 공식 명칭이 'HMG-CoA 레둑타제 억제제'이다.

 그런데 바로 이 효소를 억제하는 변이유전자를 지닌 여성이 난소암 발생률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은 스타틴이 난소암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난소암 환자 2만2천406명이 포함된 20세 이상 여성 6만3천347명을 대상으로 '멘델 무작위 분석법'(Mendelian randomization)을 이용, 질병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멘델 무작위 분석법'이란 특정 질병의 환경적 위험인자들과 그와 관계가 있는 유전자 변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해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연구 방법이다.

 그 결과 HMG-CoA 레둑타제를 억제하는 변이유전자를 지닌 여성은 다른 여성에 비해 난소암 발생률이 4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 여성 중에서 난소암 위험을 높이는 BRCA1/2 변이유전자를 지닌 여성 3만1천448명도 살펴봤다. 이 중 3천887명이 난소암 환자였다.

 이 변이유전자를 HMG-CoA 레둑타제를 억제하는 변이유전자와 함께 지니고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난소암 위험이 30% 낮았다.

 이 연구는 직접적인 스타틴 복용과 난소암 위험 감소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 아니고 스타틴이 표적으로 하는 단백질과 이 단백질을 억제하는 변이유전자 사이의 연관성만을 살펴본 것이기 때문에 이 결과만으로는 난소암 위험이 낮아진 정확한 메커니즘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결과는 값싼 약인 스타틴을 난소암을 막는 데 도움이 되는 약으로 용도변경(repurpose)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 것으로 연구팀은 평가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급중단 항암제, 환자가 수입하는 현실…"세금도 환자몫"
50대 정모(여)씨는 간헐적이던 복부 통증이 작년 6월부터 온종일 계속될 정도로 심해지자 병원을 찾았다. 초음파 촬영을 한 동네병원에서는 복부 장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큰 병원에 가보라 했고, 서울 A대학병원에서는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통해 부신피질암으로 최종 진단했다. 흔히 부신암으로 부르는 부신피질암은 우리 몸속 2개의 신장 위쪽에 위치한 부신이라는 기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부신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을 생산하는 기능을 하는 조직이다. 부신암은 악성도가 높아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 혈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전이가 쉽게 발생하는 편이다. 의료진은 정씨의 종양 크기를 줄이는 치료와 동시에 항암제 '리소드렌'(성분명 미토테인)을 함께 처방했다. 리소드렌은 2001년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수술이 불가능한 기능성 및 비기능성 부신피질암 환자 치료용 항암제로 허가를 획득했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재련 교수는 "리소드렌은 부신암 환자의 치료에 꼭 필요한 항암제로, 현재 국내외를 통틀어 대체 의약품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부신암은 2020년 기준으로 연간 253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