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으로 옮기는 결핵균, 기침 유발 물질 직접 만든다"

황지질 산으로 통각수용기 자극하는 '기침 유발' 메커니즘 확인
미 텍사스대 연구진, 저널 '셀'에 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은 기침으로 배출된 비말(침방울)을 주 매개체로 전염된다.

이렇게 기침을 통해 병균이 옮겨지는 전염병 중 대표적인 게 결핵(Tuberculosis), 특히 폐결핵이다.

 해마다 전 세계에서 약 13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는 폐결핵은, 여전히 WHO(세계보건기구)가 선정한 10대 질병 사망 원인 가운데 하나로 올라 있다.

 바이러스나 세균이 어떻게 기침을 일으키는지는,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과학계의 오랜 숙제다.

 그런데 미국 텍사스대 댈러스 캠퍼스 과학자들이, 폐결핵 환자에게 심한 기침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을 발견했다.

 폐결핵 균(MTB)이 생성하는 이 물질은 통각 신경 말단을 자극해 기침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5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셀(Cell)'에 실렸다. 텍사스대는 별도의 논문 개요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논문의 저자 중 한 명인 테드 프라이스 교수는 "폐결핵은 아직 세계 많은 지역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라면서 "결핵균이 기침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발견함으로써 이 전염병의 확산을 억제하는 계기를 찾은 것 같다"라고 말했다.

 폐결핵 환자의 심한 기침은, 세균 감염으로 인한 폐의 염증이나 자극과 관련이 있다는 게 의학계의 가설이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기침을 일으키는 건, 아픈 자극에 반응하는 통각수용기(nociceptor)였다. 통각수용기는 거의 모든 신체 조직에 존재하는 자유 신경 말단을 말한다.

 연구팀은 생쥐 실험에서, 폐결핵 균이 생성하는 황지질 산(SL-1)이 통각수용기를 자극해 기침을 일으킨다는 걸 확인하고, 인간의 통각수용기 세포에서 동일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도 검증했다.

 연구팀은 이어 특정 MTB 종(strain)의 유전자를 조작해, 황지질 산을 생성하지 않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 실제로 이런 균에 감염된 생쥐는 기침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의 마이클 실로 내과 부교수는 "활동 폐결핵 환자는 몇 달씩 심한 기침을 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동안에도 병원균을 옮길 수 있다"라면서 "앞으론 결핵의 확산을 막기 위해 기침을 막는 약을 항생제와 함께 투여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다음 팬데믹은 변종 독감"…질병청, 대유행 대응계획 개정 추진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 초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심포지엄을 지난 20일 오후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호텔에서 열었다. 이 계획은 매년 발생하는 계절 인플루엔자(독감)가 아닌, 신종 또는 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이다. 지난 2006년 제정된 뒤 2011년과 2018년 두차례 개정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반영해 6년 만에 이 계획의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질병청은 개정 목표를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쪽으로 잡고 유행 정점기를 최대한 지연시켜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중증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前)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탐지하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판별하는 한편, 백신 개발을 100~200일로 단축하고 '원헬스(사람·동물·환경의 건강을 균형 있게 조정하고 최적화) 전략'을 통해 인수공통감염을 공동감시하는 것을 중점 과제로 잡았다. 세부 계획으로는 ▲ 변이바이러스를 신속히 확인하는 검사법 개발 ▲ 초기 6개월 대응 가능한 치료제·방역물자 사전 비축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개발·연구 속속 손잡는 제약업계 …"같이 합시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협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등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각자 확보한 기술 등 장점을 최대한 결합해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에서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및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계획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사용되는 '링커' 제조 공정을 공동 연구하고 이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및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