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울증 등 기분장애 환자 100만명 넘어…여성이 66%

지난해 진료비 총 6천757억원…1인당 66만5천원

 우울증이나 조울증 등 기분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해마다 약 7%씩 늘어 지난해 100만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질환에 대한 진료비 역시 연평균 12%씩 증가해 지난해 총 6천800억원 정도가 소요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6∼2020년 '기분장애(F30~F39)'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이같이 발표했다.

 기분장애는 기분 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를 일컫는다. 우울증, 조울증(양극성 장애)이 기분장애에 속하는 대표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기분장애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지난 2016년 77만7천781명에서 2017년 81만6천859명, 2018년 89만3천478명, 2019년 96만3천239명, 2020년 101만6천727명 등으로 연평균 6.9%씩 증가했다.

 2016년과 비교하면 2020년 진료 인원 수는 30.7% 늘었다.

 지난해 기분장애 진료 인원은 여성이 67만1천425명(66%)으로 남성 34만5천302명(34%)의 배 수준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가 16.8%(17만987명)로 가장 많았고, 60대 16.2%(16만4천401명), 50대 14.4%(14만6천661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60대 비율이 16.9%로 가장 높았고, 20대와 50대가 각 15.9%, 14.5%를 차지했다. 남성은 20대 18.6%, 60대 14.8%, 50대 14.3%의 순이었다.

 박선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환자 나이가 많을수록 자주 재발하고 이환 기간이 길어지므로 고령 여성에서 진료 빈도와 기간이 길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또 "최근 젊은 층에서 불안장애, 우울장애의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인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을 것으로 짐작한다"고 덧붙였다.

 인구 10만명당 기분장애 질환 진료 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천980명으로 2016년 1천532명 대비 29.2% 증가했다.

 남성은 2016년 1천38명에서 2020년 1천341명으로 늘었고, 여성은 2016년 2천31명에서 2020년 2천623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구 10만명당 기분장애 질환 진료 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대 이상이 4천501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남성은 80대 이상이 3천835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여성은 70대가 4천974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기분장애 진료 인원 가운데 우울에피소드(F32·우울증)가 76만6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양극성 정동장애(F31·조울증)가 11만2천명, 지속성 기분장애(F34)가 8만4천명 등이었다.

 2016년 대비 지난해 크게 증가한 질병은 상세불명의 기분장애(F39) 질환으로 125.1% 증가해 진료 인원이 2만4천명이었다.

 지속성 기분장애(F34), 양극성 정동장애(F31)가 2016년 대비 각 70.0%, 3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기분장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은 주요 우울장애"라며 "우울증의 평생 유병률은 4.4∼30%, 조울증의 평생 유병률은 0.5∼2.5%로 추산된다. 이 두 질환이 기분장애 중 가장 대표적이고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기분장애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6년 총 4천299억원에서 지난해 6천757억원으로 5년간 57.2%(2천459억원)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12.0%였다.

 2016년 대비 지난해 진료비 증가율은 여성이 63.7%로, 남성 46.3%보다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연령대별로 보면 지난해 진료비는 20대에서 가장 많은 1천337억원(19.8%0)을 사용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의 진료비가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1인당 진료비를 보면 2016년 55만3천원에서 지난해 66만5천원으로 20.3% 늘었다. 1인 진료비 증가율은 여성이 25.1%로 남성 12.2%보다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10대가 95만4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9세 이하가 49만1천원으로 가장 낮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명에너지 활용한 환경호르몬 검출법 개발…안전성 평가 기준 기대
부산대학교는 생명과학과 윤부현·김태진 교수팀이 내분비계 장애 물질(환경 호르몬)을 판별하는 세포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판별 시험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환경호르몬은 외부에서 유입돼 체내 호르몬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물질로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와 함께 세계 3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다양한 검색 시험법의 가이드라인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이번에 부산대 연구팀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판별할 수 있는 시험법 개발에 성공했다. 환경호르몬이 국제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면서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1998년부터 환경 호르몬 판별 시험법 개발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부산대 연구팀은 동물실험 없이 인체 세포주만으로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탐지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했으며, OECD 시험 가이드라인 검토를 거쳐 국제 표준 시험법으로 채택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이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