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오진 피해구제 신청 4년반 동안 131건…폐암이 최다

소비자원 분석…전체 암 관련 의료서비스 구제신청은 347건

 한국소비자원은 건강검진이나 진료 과정에서 암을 발견하지 못하거나 다른 질병으로 오진하는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9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 6월까지 접수된 암 관련 의료서비스 피해구제 신청은 총 347건이었다.

 이 가운데 암 오진 사례는 37.8%(131건)로 '암을 암이 아닌 것으로 진단'한 경우가 87%(114건), '암이 아닌데 암으로 진단'한 경우가 13%(17건)였다.

 오진 사례의 암 종류는 폐암이 19.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위암(13%), 유방암(12.2%), 간암(9.2%) 등의 순이었다.

 여성은 유방암, 남성은 폐암을 오진한 경우가 많았다.

 이상 증상이 있어 진료를 받는 과정에 오진이 발생한 사례가 62.6%였고, 건강검진 도중 오진한 경우가 22.1%였다.

 건강검진 이후 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 검사에서 오진이 발생한 사례도 15.3%였다.

 오진 사례 중 병원 책임이 인정된 78건을 분석한 결과 정확한 진단을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했으나 하지 않은 경우가 39.7%, 영상 검사 판독 오류가 30.8%였다.

 암 오진으로 입은 피해는 상태 악화(53.8%), 치료 지연(33.3%)이 주를 이뤘다.

 소비자원은 암 오진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검사 결과를 이해하기 어려우면 상세한 설명을 요구하고, 새로운 증상이 발생하거나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다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