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소고기·돼지고기 소비, 가정 늘고 외식 줄어

농촌진흥청, 성인 1천500명 대상 조사…축산물 인터넷 구매 증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돼지고기와 소고기 등 축산물 소비 방식이 외식은 줄고 가정 내 조리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5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 9월 1~14일 전국의 주부·1인가구 1천500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이후 축산물 소비환경 변화 조사' 결과 돼지고기의 경우 가정 내 조리가 60.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식(16.8%), 가정간편식·바로요리세트(12.1%), 배달(10.7%) 등의 순이었다.

 이는 최근 3개월간 육류 소비 방법을 4가지 방식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다.

 돼지고기의 가정 내 조리가 1년 전과 비교해 증가했다는 응답이 41.4%에 달한 반면 감소했다는 응답은 9.9%에 그쳤다. 변화 없다는 48.7%였다.

 외식은 감소했다는 응답이 38.7%로, 증가했다는 답변(15.7%)의 두 배가 넘었다.

육류 구입 장소 변화

 소고기도 상황이 비슷했다.

 가정 내 조리가 57.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외식(17.9%), 가정간편식·바로요리세트(14.8%), 배달(9.9%) 등의 순이었다.

 가정 내 조리는 1년 전보다 증가했다는 응답이 41.1%로, 감소 답변(13.5%)의 3배가 넘은 반면 외식은 감소 응답(49.3%)이 증가 답변(11.7%)의 4배를 웃돌았다.

 닭고기는 가정 내 조리가 44.0%로 가장 많긴 하지만 배달도 30.3%에 달해 돼지고기·소고기의 배달 응답률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가정간편식·바로요리세트는 13.2%, 외식은 12.6%였다.

 코로나19에 따른 육류 구매 장소는 변화가 있다는 응답이 18.7%였고, 변화 없다 30.8%, 비슷하다 50.5%였다.

 인터넷 구매가 증가했다는 응답은 49.8%였고 백화점은 7.8%에 그쳤다. 백화점은 구매가 감소했다는 응답이 19.2%로, 증가 답변의 2배가 넘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