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면대 기댔다가 '와르르'…한국소비자원, 안전주의보 발령

3년간 매년 200건 이상 사고 발생…"기대거나 발 올려 씻지 마세요"

화장실 세면대에 기댔다가 세면대가 파손돼 다치거나 어린이가 세면대에서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해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8일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세면대 관련 안전사고는 총 693건이다. 최근 3년간 매년 200건 이상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10세 미만의 안전사고가 36.7%(254건)로 가장 많았고 20대 17.6%(122건), 10대 15.7%(109건), 30대 9.8%(68건) 순으로 사고가 자주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를 당한 사람 중 남성은 63.8%(442건), 여성은 36.2%(251건)로 남성이 여성의 약 1.8배였다.

 이용 부주의나 설치 하자 등으로 도기 재질의 세면대가 무너지면서 그 파편에 다치거나 세면대에 부딪히는 경우, 세면대에서 추락하는 경우 등 사고 유형은 다양했다.

 만 19세 여성 A는 지난해 6월 세면대에 몸을 기대어 있다가 세면대가 무너져 양손과 팔, 엉덩이에 열상을 입어 병원을 찾았다. 이러한 '파열·파손·꺾여짐' 사고가 전체의 54.5%(378건)를 차지했다.

 만 10세 남성 B는 2019년 8월 초등학교 화장실에서 세면대에 머리를 부딪혀 뇌진탕이 발생했다. 이와 같은 '부딪힘' 사고는 전체의 34.9%(242건)였다.

 세면대에서 11개월 된 아이를 씻기다가 약 1m 높이에서 아이가 추락해 부종·찰과상·구토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례, 만 27세 여성이 화장실 세면대에 발을 올려 닦다가 날카로운 부분에 발이 긁혀 열상을 입은 사례도 있었다.

 이런 사례와 유사한 '추락' 사고는 6.8%(47건),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사고는 2.0%(14건)였다.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세면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세면대에 체중을 실어 몸을 기대거나 걸터앉는 행위, 발을 얹어 씻는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세면대에서 어린아이를 씻기는 것을 자제하고, 영유아 등이 화장실을 이용할 때 세면대에 부딪히거나 다치지 않는지 살피며 아이들이 장난을 치지 않도록 교육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또 화장실 전구를 갈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는 세면대를 밟고 올라서지 말고 의자나 사다리를 이용하라고도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