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찌꺼기, 축산농가서 악취제거로 재활용

환경부, 시범사업…"20만t에 450억원 비용 절감"

 

 커피를 내리고 남은 찌꺼기가 축산농가에서 악취제거로 재활용된다.

 환경부는 22일 인천시, 경북도, 한국생산성본부, 환경재단, 현대제철과 커피찌꺼거기 재자원화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한다.

 커피전문점에서 그냥 버리는 커피찌꺼기를 '미생물군집 발효기술'을 이용, 축산농가 악취저감제나 톱밥대체제로 탈바꿈시키는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아메리카노 한 잔을 만드는 데 보통 커피원두 15g이 사용되는데, 99.8%인 14.97g이 나중에 커피찌꺼기로 버려진다.

 재작년 기준 연간 커피찌꺼기 발생량은 14만9천여t으로 추산된다.

 환경부는 커피찌꺼기 20만t을 재활용하면 폐기물 처리비용으로만 200억원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여기에 더해 소농가에서 쓰는 톱밥이 1t당 2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커피찌꺼기 10만t으로 같은 양 톱밥을 대체하면 200억원의 추가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도 분석했다.

 또 돼지농가 분뇨 퇴비화 처리비가 1t당 5만원이라는 점에서 커피찌꺼기 10만t을 퇴비화에 사용하면 50억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커피찌꺼기는 가축분뇨 악취를 일주일 만에 90% 줄이는 강력한 탈취제"라면서 "커피찌꺼기 재자원화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