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친 '가족간병인'의 삶…사회적 지원책 마련해야"

 암과 치매 등으로 투병 중인 가족을 돌보는 '가족간병인'이 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은 자신의 건강을 돌보지 못해 또 다른 환자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형국 상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한국상담학회 이사)는 15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라이나전성기재단이 공동으로 마련한 '가족간병 돌봄정책 심포지엄'에서 국내 가족간병인의 실태를 이같이 진단하고, 이들을 위한 실효성 있는 돌봄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국내에는 가족간병인이 꼭 필요한 암 투병 환자가 210만명이 넘고, 치매 환자도 68만명에 달한다"면서 "하지만 하루 평균 5시간이 넘는 돌봄 과정에서 환자와 비슷한 수의 가족 간병인들이 느끼는 갈등과 우울, 신체적 기능저하 등 심리·육체적 고통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족 간병인의 이런 문제는 결국 환자의 간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보호자 또한 '숨은 환자'로 전락하게 될 우려가 큰 만큼 정부와 사회가 나서 이들을 위한 조력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게 이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먼저 가족간병인에 대한 의료비 환급이나 생활비 등 경제적 지원, 간병 지원, 간병 스트레스 등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원 등을 검토해볼 수 있다"면서 "이에 더해 가족 간병인 스스로 정신건강을 지키고, 번아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제적 자기 노력에 대한 교육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동원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은 국내 치매 환자에 대한 가족간병인의 하루 평균 돌봄 시간이 4.8시간을 넘고, 직장을 그만두는 비율이 27%에 달한다는 내용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이들에 대한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양 이사장은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스트레스를 조절하지 못하면 우울증, 기억장애, 불면증, 불안,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게 그동안의 연구로 확인됐다"면서 "간병인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적절한 개입과 치료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책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