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커피사랑' 4년만에 두배로 급증…치킨집 한참 앞질렀다

커피·음료점 10만개 육박…커피 수입액 연 10억달러 첫 돌파

 국내 커피·음료점이 갈수록 늘어 10만 곳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4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급증해 치킨집 수도 앞질렀다.

 한국인의 남다른 커피 사랑 속에 지난해 커피 수입액은 10억달러를 처음 돌파했다.

 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커피 및 음료점업 점포 수는 전년 말보다 17.4% 증가한 9만9천개로 역대 최대다.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를 바탕으로 집계한 결과다.

 커피·음료점은 2018년 말 4만9천개에서 2019년 말 5만9천개, 2020년 말 7만개, 2021년 말 8만4천개로 늘었고 지난해 말 10만개에 근접했다.

 [표] 업종별 음식점 추이 (단위: 개)

 

업종/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한식음식점업 270,400 291,130 313,349 337,571 362,168
중국음식점업 17,900 19,539 21,069 23,279 25,721
일식음식점업 11,195 12,788 14,546 17,150 19,750
서양식음식점업 21,543 24,643 28,595 33,696 38,970
출장 및 이동 음식점업 1,168 1,538 1,681 1,929 2,525
제과점업 733 733 733 733 733
패스트푸드 10,296 10,821 11,394 12,144 12,676
치킨 61,339 65,835 71,232 76,175 80,522
분식 30,180 32,844 35,682 39,155 41,812
주점업 40,597 42,343 43,862 45,127 46,789
커피 및 음료점업 48,935 58,582 69,602 84,240 98,886
기타 96,929 118,155 141,163 168,651 199,517

 

(자료=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

 지난해 말 점포 수는 4년 전인 2018년 말에 비해 102.1%(5만개) 늘어난 것으로 단 4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한 셈이다.

 커피·음료점은 다른 음식점들에 비해 증가 폭이 훨씬 컸다.

 커피·음료점이 102.1% 증가한 최근 4년 동안 서양음식점은 80.9% 늘었고 일식 76.4%, 중식 43.7%, 분식 38.5%, 한식 33.9%, 치킨 31.3%, 패스트푸드 23.1%, 주점 15.3% 각각 증가했다.

 출장 및 이동 음식점이 116.2% 늘어 커피·음료점보다 증가율이 높았지만 점포 수는 2천여개 수준이다.

 커피·음료점이 급격히 늘면서 치킨집보다도 많아졌다.

 지난 2018년 말만 해도 커피·음료점은 4만9천개로 치킨집(6만1천개)보다 적었지만 2021년 말 커피·음료점은 8만4천개로 치킨집(7만6천개)을 앞질렀다.

 지난해 말에는 커피·음료점이 9만9천개로 치킨집(8만1천개) 대비 1만8천개 많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현재 한식음식점이 36만2천개로 가장 많고 이어 커피·음료점이 9만9천개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치킨집(8만1천개)과 주점(4만7천개), 분식(4만2천개), 서양음식점(3만9천개), 중국음식점(2만6천개), 일식음식점(2만개), 패스트푸드(1만3천개) 등 순이다.

 한국인의 커피 사랑은 커피 수입액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관세청 무역통계를 보면 지난해 1~11월 커피 수입액은 11억9천35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5.1% 늘었다. 연간 커피 수입액이 10억달러를 넘은 건 처음이다.

 커피 수입액은 2018년 6억4천만달러, 2019년 6억6천만달러, 2020년 7억4천만달러, 2021년 9억2천만달러로 꾸준히 늘어왔다.

 지난해(1~11월) 커피 수입액을 20년 전인 2002년 연간 수입액(7천142만달러)과 비교하면 16.7배에 달했다.

 커피 수입액은 볶았는지(로스팅), 카페인을 제거했는지(디카페인) 상관없이 커피 껍질과 커피를 함유한 커피 대용물 등을 모두 합한 것이다.

 [표] 커피 수입량·수입액 추이

 

연도 수입량(t) 수입액(천달러)
2001 75,185.50 72,249
2002 80,233.10 71,423
2003 75,330.70 78,597
2004 84,216.50 96,074
2005 85,031.70 140,604
2006 86,593.90 162,736
2007 87,344.70 203,934
2008 102,086.20 289,254
2009 100,575.80 276,284
2010 111,624.80 371,612
2011 121,855.20 618,626
2012 106,118.60 477,206
2013 114,351.70 415,479
2014 133,732.00 527,290
2015 137,794.60 547,094
2016 153,029.50 562,774
2017 159,309.30 655,344
2018 158,385.40 637,288
2019 167,653.70 661,673
2020 176,648.00 737,795
2021 189,502.40 916,480
2022(1~11월) 187,789.80 1,190,346
2021(1~11월) 171,989.70 820,400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