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우울증 환자다"…30년 베테랑 정신과 의사의 고백

신간 '먼저 우울을 말할 용기'…환자이면서 치료사로서의 수기
린다 개스크 "한국은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강한 나라"

  "나는 정신과 의사지만 오랜 우울증을 앓았다. 20년 이상 항우울제를 먹었다. 심리치료도 숱하게 받았고, 술로 괴로움을 달래려고도 해봤다."

 30년 경력의 정신과 의사이면서 영국왕립정신의학협회 회원인 린다 개스크 박사는 자신의 책 '먼저 우울을 말할 용기'(윌북)에서 이같이 고백한다.

 정신과 의사한테 찾아오는 우울증이 오히려 다른 의사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고 저자는 얘기한다.

 우울증 전문가라고 해서 우울증에 안 걸린다는 법은 없고, 그것을 부끄러워할 필요도 없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그는 때로 의사 앞에서 복잡한 자기 내면을 말하기를 주저하는 환자가 되기도 한다.

 그는 서문에서 "힘든 티를 내지 말고 의연해야 한다는 의료계 불문율을 무시하고 고백하자 동료들은 꽤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동료도 우울증을 앓았다는 사실을 털어놨고 여러 의대생도 도움을 얻었다고 한다.

 저자에 따르면 개인마다 고통받는 사연은 다르고 특별하다.

 우울증에는 인간으로 살면서 피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현실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 증세로 처음 병원을 간 환자는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한다.

 문제가 무엇에서 왜 어떻게 비롯됐는지 뚜렷하게 인식하지 못한다. 마음 한구석에 감춰진 어떤 감정이 느껴지지만, 거기에 맞는 말을 하지 못한다.

 치료사는 그 우울을 깊이 들여다보면서 저마다의 사연을 인정하고 가슴으로 이해할 때 도울 수 있다.

 그것이 약 복용만으로 결코 치료될 수 없는 이유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들이 겪는 괴로움 중에는 의사들이 흔히 질문하는 공통의 증상도 많다.

 두려움, 상처,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 외로움, 불신, 해소되지 못한 애통함….

 똑같은 상황에서 어떤 사람은 아무렇지도 않은데 어떤 사람은 무너져 내리는 이유는 바로 취약성이다.

 개개인이 지니는 취약성은 모두 달라서 우울은 다양한 얼굴로 찾아온다. 우울을 마주하는 순간과 무너져 내리는 순간은 다르기 때문에, 상담을 통해 개인마다 다른 취약성을 찾아내고 그들을 무너지게 만든 요인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물론 뇌 속의 염증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 즉 생물학적 요인도 우울증의 기전과 원인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전부를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우울증은 자살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이고, 한국은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은 나라라고 저자는 분석한다. 우울증으로 도움을 청하면 '이상한 사람이나 정신 나간 사람'이 되는 것 같아 두렵다는 사람을 많이 봤단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정신 질환에 대한 편견이 아직도 꽤 강하다고 그는 지적한다. 친구나 가족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 때 '난 괜찮다'고 버티지 말고 내게 맞는 치료사를 적극적으로 찾아 조언을 구하라고 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작년 봉급 인상 직장인, 다음달 건강보험료 더 내야 한다
작년에 봉급 등이 오르거나 호봉승급, 승진으로 소득이 증가한 직장인은 다음 달에 건강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22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법에 근거해 매년 4월이면 연례행사처럼 직장인을 대상으로 건보료 연말정산을 한다. 건보공단은 2000년부터 직장 가입자 건보료는 전년도 보수총액을 기준으로 우선 부과하고, 실제 받은 보수총액에 맞게 보험료를 재산정해서 이듬해 4월분 보험료에 추가 부과 또는 반환하는 정산 절차를 거치고 있다. 정산과정에서 작년 임금인상 등으로 소득이 오른 직장인은 더 내지 않았던 건보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지만, 봉급 인하 등으로 소득이 감소한 직장인은 더 많이 냈던 건보료를 돌려받는다. 건보료 정산은 실제 보수에 따라 작년에 내야 했던 건보료를 다음 연도 4월까지 유예했다가 나중에 내는 것으로, 보험료를 일률적으로 올리는 건보료 인상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렇지만 연말 정산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건보료를 정산하다 보니, 추가로 정산보험료를 내야 하는 직장인에게는 보험료 인상으로 받아들여져 해마다 4월이면 '건보료 폭탄' 논란이 벌어진다. 지난해의 경우 월급 등 보수가 늘어난 1천11만명은 1인당 평균 약 21만원을 추가로 냈다. 반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