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청년이 말하는 건강도시…서울 '세계대학생 건강총회'

글로벌 정책 제안·교류협력 논의…우수제안은 서울시정 반영

 서울시는 전 세계 도시의 건강 정책을 공유하는 '제10차 건강도시연맹 세계총회'를 9월 25∼27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 건강도시연맹(AFHC)은 한국·중국·일본·호주 등 9개국의 188개 도시, 53개 비정부기구(NGO)·기관이 가입한 국제 네트워크다.

 서울시는 AFHC 의장 도시를 맡고 있으며 이번 행사는 회원 도시 간 정책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행사다.

 9월 27일에는 국내외 대학생·대학원생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건강도시 정책을 제안하고 교류하는 '세계 대학생 건강총회'가 열린다.

 총회 자문단으로 구성된 심사위원은 정책 제안에 대해 주제 적합성(30%), 시사성(25%), 완성도(25%), 창의성(20%)을 심사해 본선 진출 6개 팀을 다음 달 30일 발표한다.

 본선 진출팀은 9월 27일 발표와 토론을 하며, 현장 심사를 거쳐 시상 등급이 결정된다.

 자유토론에서는 TV 프로그램 '비정상회담' 패널로 활동한 방송인 자히드 후세인과 줄리안 퀸타르트가 사회자로 나선다.

 엠마 캠벨 국경없는의사회 한국 사무총장의 한 강연도 열린다.

 서울시는 대학생들의 제안을 서태평양 건강도시연맹에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해 정책 실현 가능성 검토 등의 과정을 거쳐 우수 제안을 시정에 반영할 예정이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국내외 대학생, 대학원생의 창의적 정책 제안으로 글로벌 건강 형평성과 국제협력을 촉구하는 좋은 기회"라며 "청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