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채식 먹고, 맨발로 걸으면 만성질환 치료에 도움"

신간 '보디 리셋' '어싱, 생명을 살리는 접속'
전홍준 박사 "모든 병은 세포와 유전자의 변질로 생겨"

 19세기 초반, 서구 열강은 산업혁명에 힘입어 엄청난 발전을 이룩했다.

 산간벽지에 철도가 깔렸고, 도시 공장에선 수많은 제품이 만들어졌다.

 문명은 크게 발전했지만, 건강의 측면에선 오히려 퇴보했다.

 결핵환자가 급증하기 시작한 것이다. 오늘날 사망률 1위는 암이지만, 19세기에는 결핵이 압도적인 1위였다.

 그러다 1850년대부터 결핵 환자가 감소하더니 19세기 말이 되자 급격하게 줄었다.

 치료제 때문은 아니었다.

 결핵 치료제인 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유행이 한참 지난 1946년 출시됐기 때문이다.

 결핵 환자가 급감한 이유는 산업화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위생 환경이 깨끗해졌고, 사람들의 영양 상태가 좋아졌으며 주거 환경이 개선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외과 전문의이자 조선대 의대 교수를 역임한 전홍준 박사는 결핵 치료에 위생과 주거환경 개선이 큰 역할을 한 것처럼, 체내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만성질환 치료에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신간 '보디 리셋'(서울셀렉션)을 통해서다.

 책에 따르면 암, 당뇨, 자가면역질환 등 각종 만성질환은 "세포와 유전자의 변질"에서 생겨난다.   저자는 "어떤 병이라도 근원을 찾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세포가 고장 나 있다"며 "세포 안에 있어선 안 되는 독성물질과 노폐물, 불순물을 없애고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 체온을 보태는 게 병 치료의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요컨대 병을 없애려면 세포를 건강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생채식과 소식(小食)이다. 생채식은 수렵채집 시기에 인류가 그랬던 것처럼 생채소, 생과일, 생 곡식. 씨앗과 견과류, 베리류 등을 불로 조리하지도 가공하지도 않은 채 날것 그대로 먹는 걸 말한다.

 이런 생채식을 먹으며 소식하면, 몸 내에서 오토파지(자가포식)가 발생한다.

 부족한 열량을 충족하기 위해 신체가 세포 안의 여러 가지 노폐물이나 독성물질을 태워버리는 작용이다. 일종의 대청소가 몸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그렇게 먹은 후 햇볕을 쬐며 땅을 맨발로 걸으면 도움이 된다.

  맨발로 걸으면 몸 안에 있는 '노화의 주범' 활성산소와 독성물질이 발바닥을 통해 빠져나가고, 땅속에 있는 생명 에너지인 자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저자는 "햇볕과 땅으로부터 좋은 생명 에너지가 몸에 들어온다"고 강조한다.

 여기에 깊게 숨을 내쉬며 들이마시는 복식호흡과 깊고 충분한 수면, 매사에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지니면 도움이 된다고 저자는 조언한다.

 다만,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데 있어 이 같은 '자연 치료'에만 매몰되는 것은 좋지 않다면서 병원 치료도 함께 받을 것을 권한다.

 치료에도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암 치료를 예로 들며 "수술과 항암요법만이 유일한 방법이니 어떤 경우든 계속 그 방법만 써야 한다는 것도 극단이고, 수술이나 항암제는 절대로 하면 안 되니 오로지 자연 치료만 하겠다는 것도 극단"이라고 말한다.

 이런 내용을 담은 '보디 리셋'이 몸에 생긴 병을 그 증세만 보고 고치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몸과 마음과 영성을 통합해 치유하려는 통합의학적 관점에서 질병을 다뤘다면, 김상운의 '어싱, 생명을 살리는 접속'(서울셀렉션)은 전 박사가 언급한 4가지 전략 중 운동, 그중에서도 맨발 걷기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한 책이다.

 저자는 여러 논문과 다양한 임상 사례를 토대로 맨발 걷기의 효능을 설명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1초에 100만번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생체 모방 촉매 설계 활용"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의 반응과정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포착했다. UNIST 물리학과 김채운 교수팀은 탄산탈수효소Ⅱ(Carbonic Anhydrase Ⅱ)가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바꾸는 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탄산탈수효소 Ⅱ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잘 녹는 탄산 이온으로 바꾸는 단백질 촉매다. 이 촉매 분자의 활성자리에 이산화탄소가 붙었다가 탄산으로 바뀌어 떨어지는 반응이 일어나는데, 반응이 1초에 100만 번 이상 일어날 정도로 빨라 그 중간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 연구진은 자체 설계한 '분자 영화 기술'을 활용해 반응 전 과정을 포착했다. 분자 영화 기술은 촬영 컷을 이어 만드는 영화처럼 효소 분자의 반응을 단계별로 얼려 X선으로 연속 촬영하고 이를 시간순으로 복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효소 활성자리에서 물 분자가 자리를 바꾸고, 새 물이 유입되면서 탄산 이온이 빠르게 방출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 분자의 재배열과 교체라는 중간 단계가 생성물의 방출 속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는 것이다. 제1 저자인 김진균 박사는 "영하 113℃에서 영하 93℃

메디칼산업

더보기
제약·바이오, 코스닥 진입 활성화…"상장규제 개선 필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잇달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여 업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제약·바이오 기업 최소 3곳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이번 주에는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코스닥에 진입했다. 이 회사는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돼 300종 이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 병의원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해 인체 장기를 재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업 인투셀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인투셀의 경우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2배의 근접한 수준에서 장을 마치기도 했다. 하반기 코스닥 상장이 예정된 기업도 적지 않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식물 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지에프씨생명과학도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 바이오 소재 생산부터 테스트까지 원스톱 설루션을 제공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도 코스닥 입성에 주력하고 있다. 뇌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