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끓일 때 수돗물? 생수?…가구 66% "음식할 때 수돗물 써"

7만가구 대상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수돗물 음용률은 37.9%
수돗물 '편리하냐'는 질문에 80% "그렇다"…'맛있냐'엔 36%만 긍정

 라면을 끓일 때 수돗물을 쓰는 사람이 많을까, 생수나 정수기 물을 쓰는 사람이 많을까.

 7만여 가구 대상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을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2024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조사는 환경부가 한국상하수도협회에 의뢰해 지난 4월 22일∼6월 30일 전국 7만2천460가구를 방문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정수기 물을 마신다는 가구는 전체의 53.6%였고 먹는 샘물을 사서 마신다는 가구는 34.3%였다.

 수돗물 음용률은 첫 조사이자 직전 조사였던 2021년 조사 때(36.0%)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정수기 물과 먹는 샘물을 마신다는 비율도 각각 4.2%포인트와 1.4%포인트 올랐다. 중복응답이 가능해 모든 선택지 응답률이 상승할 수 있다.

 밥과 음식을 조리할 때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끓여서 사용한다는 가구가 전체의 66.0%로 가장 많았다.

 정수기 물을 사용한다는 가구는 40.8%, 먹는 샘물을 쓴다는 가구는 13.0%였다.

 차나 커피를 끓일 때는 수돗물을 사용한다는 가구가 47.5%, 정수기 물을 사용한다는 가구가 48.9%, 먹는 샘물을 쓴다는 가구가 19.4%였다.

 이번 조사에서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자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낡은 수도관의 불순물이 걱정된다'는 답변이 34.3%로 최다였다.

 이어 '건강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21.5%), '염소 냄새'(13.2%) 순이었다.

 수돗물 만족도는 58.2%(약간 만족 51.4%·매우 만족 6.8%)였고, 만족도를 더 높이려면 '상수원 수질관리'(27.7%), '지방자치단체의 낡은 수도관 교체·세척'(22.8%)이 선행돼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수돗물 만족도 문항에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6.6%, '불만족'이라고 한 응답자는 5.2%(약간 불만족 5.1%·매우 불만족 0.1%)였다.

 수돗물이 편리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을 때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이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80.1%였다.

 경제적인지와 수질을 믿을 수 있는지, 환경에 도움이 되는지에 긍정하는 답을 한 응답자는 각각 75.4%, 61.3%, 60.1%였다.

 반면 수돗물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와 '맛이 좋은지'를 물었을 땐 긍정적인 답변율이 47.2%와 36.3%에 그쳤다.

 수도요금이 수돗물 생산원가 72.9% 수준이라는 점을 안다는 응답자는 16.6%에 불과했다. 83.4%는 '모른다'라고 답했다.

 지역마다 수도요금과 생산원가가 다르다는 점을 안다는 24.3%, 모른다는 75.7%였다.

 이번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는 6일부터 환경부 홈페이지(m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사 병원 복귀, 공보의 충원은 요원…공공의료 최일선 직격탄
의료 파업 기간 일선 시군 보건소 등에 취업했던 의사들이 병원으로 복귀하고, 공중보건의마저 충원되지 않으면서 기초단체 공공의료 최일선 현장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14일 충남 부여군에 따르면 내달부터 관내 5개 보건지소(은산면, 외산면, 홍산면, 임천면, 석성면)가 의과 진료업무를 중단한다. 보건지소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와 공보의 등 의료진이 부족해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다. 부여군에는 얼마 전까지 채용형 관리의사 3명과 공보의 7명이 근무했지만, 의료 파업이 끝나면서 최근 의사 2명이 다른 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나머지 관리의사 1명도 연말께 자리를 옮길 계획이고, 공보의 4명도 내년 4월 전역한다. 공공의료 최일선에 공보의 3명만 남게 되지만, 충원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공주시의 사정도 비슷하다. 10개 보건지소 가운데 절반인 5개 보건지소에서 의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공주시도 관리의사를 3명 채용했지만, 의료 파업이 끝나면서 최근 2명이 병원으로 돌아갔고, 나머지 1명도 연말까지만 근무할 계획이다. 공보의 3명 중 1명이 내년 4월 전역하면 공주지역 보건소·보건지소 의과 진료 가능자는 2명으로 줄어든다. 임시방편으로 공보 한의사를 지소장으로 두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임상서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효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동물실험에서의 안전성·효능 검증) 단계에서 염증 억제 효과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4일 현대바이오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자회사 현대ADM과 함께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 중간 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페니트리움은 면역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닌, 염증을 지속시키는 병리적 구조인 섬유아세포(CAF)와 세포외기질(ECM)을 제거하는 구조 기반 치료 전략을 따른다. 이 치료제는 이른바 '가짜내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현대바이오는 주장했다. 가짜내성은 약물 자체의 문제가 아닌 ECM의 병적 경직화에 의해 약물과 면역세포의 접근이 차단되는 현상을 말한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에서 페니트리움은 단독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인 면역억제 치료제(MTX) 대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면역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완전관해도 관찰됐다고 한다. 완전관해는 질병의 징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완치와는 다르다. 회사는 페니트리움 투약 9일 만에 효능이 입증됐다면서 용량을 높일수록 더 큰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고 전했다. 또 췌장암, 유방암 동물시험과 유사한 용